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한국어 평경격음의 지역 변이형 습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Local Variation of Korean Three-Way Plosives

권성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xamin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Busan, where the old form of phonation type is used, and in Seoul, where the new form is used, to perceive old and new forms of the phonation types of Korean three-way plosives, and analyzed how the regional variants of plosives influenced Chinese learners acquiring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study, 40 beginning and 40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Busan and Seoul (40 in each region) participated in a perception test. The perception test was designed with identification tasks that consisted of 90 questions developed with nine plosives, pa, p’a, pʰa, ta, t’a, tʰa, ka, k’a, kʰ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old form, both Busan learners and Seoul learners improved in discriminating lenis from aspirated or tense so that their lenis displayed a similar degree of accuracy with aspirated and tense. In the case of the new form, the ability of Busan learners to discriminate between lenis and aspirated did not improve, and as a result, they showed a lower degree of accuracy in lenis compared to Seoul learners. On the other hand, Seoul learners acquired a considerable level of discrimination ability between lenis and aspirated and they acquired lenis with a similar level of accuracy as aspirated and tens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어 3중대립파열음의 발성 유형 체계에 있어 구형태 사용 지역인 부산과 신형태 사용 지역인 서울의 중국인 학습자가 구형태와 신형태를 인식하는 양상을 조사하여, 파열음의 지역 변이형이 파열음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부산 지역의 중국인 학습자 40명(초급과 고급 각 20명)과 서울의 중국인 학습자 40명(초급과 고급 각 20명)을 대상으로, 신형태와 구형태 파열음에 대한 청취 실험이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구형태에 대해서는 부산 학습자와 서울 학습자 모두 학습 기간이 길어지면서 평음과 격음 간, 평음과 경음 간 변별 능력이 향상이 되어, 결과적으로 평음을 경음, 격음과 유사한 수준으로 습득해 냈다. 신형태의 경우는 부산 학습자는 학습 기간이 길어져도 평음과 격음 간 변별 능력이 서울 학습자 정도로 향상되지 않았다. 그리고 그 결과, 평음과 격음을 경음만큼 정확도가 높게 습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서울 학습자는 신형태의 경우도 평음과 격음 간 변별 능력이 상당 수준으로 습득되어. 그 결과, 평음을 경, 격음과 유사한 정확도 수준으로 습득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3중대립파열음 인식 양상
2.1. 한국어 파열음의 발성 유형의 변화에 따른 한중 파열음 대비
2.2.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중국어 화자의 지각동화 및 지각범주화 양상
3. 연구 방법
3.1. 조사 대상
3.2. 자극음
3.3. 조사 절차
4. 연구 결과
4.1. 정확도(지각범주화) 분석 결과
4.2. 오지각 양상
4.3. 발견점과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성미 Kwon, Sungmi.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