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As the usag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the gap between sports and sports fans has rapidly decre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s allow sports fans to communicate with sports stars. This increased accessibility is creating a social problem of cyber bullying due to the anonymity offered by the internet. Based on the psychological loyalty,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otivation of sports fans to write malicious comments toward sports stars. [Method]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337 survey questionnaires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PSS 23.0 has been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one-way MANOVA. [Result] With regard to the motivation for malicious comments about sports stars, fans with relatively strong loyalty scored high in free expression and conformity whereas fans with lower loyalty scored high in the enjoyment and pas time. Regardless of loyalty, the conformity factor scored the highest while the condemnation factor scored the lowest. [Conclusion] From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fans and to establish plans for systematic reformation such as educating the public on appropriate ways to post comments on the internet.
한국어
[목적]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스포츠와 스포츠팬들과의 거리를 급속도로 좁혀 놓았다. 스포츠팬들은 스포츠 스타와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NS)을 통해 쌍방향 소통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접근성은 인터넷의 익명성으로 인해 악 성댓글이라는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팬들이 스포츠 스타에게 악성댓글을 작성하는 동 기를 그들의 심리적 충성도를 바탕으로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편의표집방식으로 수집된 337부의 설문자 료에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그리고 일원다변량 분산분석이 진행되었다. [결과] 스포츠 스타에 대한 악성댓글 작성동기에 관련해서 충성도가 높은 팬들은 표현의 자유와 존재감 과시 요인에 서, 그리고 충성도가 낮은 팬들은 재미와 시간보내기의 요인에서 높은 결과 값을 보였다. 그리고 충성도와는 무관하 게 동조행위 요인은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고 적대감 요인은 가장 낮은 결과 값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를 바탕으로 스포츠팬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향후 온라인 댓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을 비롯한 제도적 개편방안 또한 필요해 보인다.
목차
Abstract
서론
선행연구 고찰
1. 팬 충성도(Fan Loyalty)
2. 악성댓글 작성동기 (Motivation of Malicious Online Comments)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조사도구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일원다변량 분산분석
3. 사후검증(Post-Hoc Analysis)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