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마트미디어 속 영상과 언어의 전염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익명의 감시 푸티지에서 저작권 없는 대중영상 클립까지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tagious Network of Video and Korean Keyboard Text in Smart Media : From Anonymous Surveillance Footage to No Copyright Video Clips

지승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ly identify how the video and keyboard korean text of inter-changeability occurs in smart media, and secondly,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and keyboard korean text of variation spread within it. Among them,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structure of the multilateral phenomenon of video-text. To this end,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and examine the network of linguistic pun and playful information that takes place in the social role of anonymous surveillance footage commonly used in smart media and so-called “No Copyright” public video clips. At this time,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Hangeul) networks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ed centrality index’, ‘betweeness centrality index’ and ‘closeness centrality index’. In addition, the Korean consonant-vowel network will be embodied in the concept of contagious (transition) network to suggest alternatives for constructing language indicators of smart media.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n consonant-vowel contagion network shows “Supplement” of image-character produced by the smart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eneration that playfully consumes it. As the point where the attributes of the media are shared, it can explain that Korean consonants and vowel are the new character of the so-called ‘Media Ecriture’ in the post-humanism era.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스마트미디어 속에서 벌어지는 영상-언어 간의 상호교환적 특성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으며 둘째, 그 안에서는 특유의 이 미지-문자의 변이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확산되는가를 밝히는 것에 있다. 그 중에서도 이미지-문자의 다변적 현상의 구조를 밝히는데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미디어에서 통용되는 익명의 감 시푸티지의 사회적 역할과 ‘저작권에서 자유로운’ 대중영상 클립을 중심으 로 발생하는 언어유희, 정보유희적 변용의 네트워크를 고찰의 대상으로 한다. 이 때 한글 자음,모음네트워크는 ‘연결중심성지수’, ‘매개중심성지 수’, ‘인접중심성지수’로 산출하여 그 특징을 일별한다. 또한 한글 자음- 모음 네트워크를 전염(전이)네트워크 개념으로 구체화하여 향후 스마트 미디어의 사용언어 지표 구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 로 한글 자음-모음 전염 네트워크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이 산출해낸 이미 지-문자의 대리보충적 속성과 이를 유희적으로 소비하는 디지털 세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시에 한글은 스마트 미디어의 속성이 공유되 어 있는 언어로서,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소위 ‘미디어 에크리튀르’를 새 롭게 제시하는 문자임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본론
  1) ‘스마트미디어’
의 영상과 언어의 혼종성 문제: 정보로의 환원과 그 역할
  2) 스마트미디어 환경 속에서 작동하는 영상과 언어의 대리보충 관계
  3) 스마트 미디어 환경 속의 영상-언어의 네트워크 가능성
 3. 결론을 대신하여
  1) 연결중심성 지수를 활용한 ‘영상의 유비지표’
  2) 매개중심성 지수를 활용한 ‘영상의 영향력 지표’
  3) 인접중심지수를 활용한 ‘이미지-문자의 공시적 지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승학 CHI, Seung-Hak.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