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 실천자로서 중등 사회과 교사의 가능성 탐색

원문정보

The Exploration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Feasibility as Practitioners of Issues-center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오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feasibility of social studies teacher’s as a practitioner of issues-center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the comparison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cognition of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with the other teachers’. As the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have in concordance with ‘Beutelsbacher Consent’, this study made the secondary analysis from the precedent data by stratification sampling on 412 secondary teachers in Seoul questionnaire of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Beutelsbacher Consent」in 2017. The conclusion by Independent two sample T test has shown tha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cognition (included history and ethics teachers) have more agreeable orientation on the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more agreeable cognitive orientation of practical principles on ‘prohibition of indoctrination’ and ‘student handle with controversy’ in classroom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do. So i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would have more latent and feasible practitioner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would.

한국어

본 연구는 중등 사회과 교사와 비사회과 교사 간의 논쟁학습 실천 원리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중등 사회과 교사의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의 실천자로서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이 텔스바흐 합의’가 논쟁학습의 기반과 정합하여 논쟁학습의 핵심적 실천원리로 볼 수 있음에 주목하여, 선행 자료를 이차 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다. 선행 자료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정보원·서울교육정책연구소 (2017)가 주관한 「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학교 시민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에서 서울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 총 412명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것이다.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논쟁학습의 실 천 원리에 대하여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도덕·역사과 포함)이 비사회과 교사 집단보다 뚜렷한 지지 경향성 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 교사 집단은 반복과 주입을 지양하는 ‘강제성 금지’ 원리와 논쟁성 있는 쟁점을 교실에서 다루는 ‘논쟁 재현’ 원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동의 경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은 비사회과 담당 교사집단보다 논쟁학습 실천에 부합하는 인식 특성을 가 지고 있으므로 향후 논쟁학습의 잠재적인 적극적 실천자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과 자료 특성
II.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와 실천 주체로서의 교사
1.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논쟁 학습의 실천 주체로서의 교사
2.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로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의미
III.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2. 자료 수집 방법 및 조사 대상
3. 설문문항 및 코딩
IV. 분석 결과
1. 각 논쟁학습 실천 원리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특성
2. 논쟁학습 실천 원리에 대하여 사회과 교사 집단의 비사회과보다 높은 동의 경향성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연주 Oh, Yeon Ju. 충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