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Change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Geometry Domain

김현미, 신항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content and achievement criteria of the Geometry domai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have changed. To this en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period were classified into continuous, extinct, and additional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he domain of Geometry, continuous achievement standards accounted for 51% of the total, and there were many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mained unchanged in grade and domain. The extinctive achievement standard is 20.4% of the total, and the mathematics contents that were rapidly introduced due to the modernization of mathematics in the 3rd curriculum were eliminated the most from the 4th curriculum, and after the 7th curriculum, With the introduction of staged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school year group,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either integrated or moved to middle school. The additional achievement standard was 28.6% of the total,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dded the most with the introduction of spatial sensory development in the 7th curriculum. The GAct that the additivel achievement standard is more than the extincti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Geometry domain is the result of the efforts to actively introduce the geometric contents appropriate to the times despite the great flow of curriculum revision of the curriculum reduc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formation of new achievement standards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의 내용 및 성취 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 으로 한 분석틀을 기초로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형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51%이고, 학년 및 영역의 변동 없이 지속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소멸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0.4%이 고, 제3차의 수학 현대화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도입되었던 학습 내용들이 제4차 교 육과정에서 삭제되면서 가장 많이 소멸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단계형 교 육과정과 학년군의 도입으로 학습 내용이 통합되거나 중학교로 이동되면서 소멸되 었다. 추가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8.6%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기르기 가 도입되면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다. 도형 영역에서 추가형 성취기준 이 소멸형 성취기준보다 많은 것은 학습 내용 축소라는 교육과정 개정의 큰 흐름 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맞는 기하 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새로운 성취기준의 구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2. 도형 학습의 의미
3. 성취기준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틀 구성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도형 영역에서의 연속형 성취기준
2. 도형 영역의 소멸형 성취기준
3. 도형 영역의 추가형 성취기준
4. 도형 영역 성취기준의 시기별 최종 소멸과 최종 추가 분포
5. 제4차 교육과정 이후의 도형 영역 유형별 성취기준의 분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미 Kim, Hyunmi. 서울도신초등학교, 교사
  • 신항균 Sihn, Hanggyun.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