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nalyzed the caregiving on the basis of the attachment theory. Its research methodology was to survey the literature on the theory and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behavioral system model of the attachment theor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to an infant’s secure attachment had been considered to be its parental sensitive responsiveness. This was also the essence of the caregiving that is activated by the securely attached adult. The adult security was considered to be extended from the infantile security. Beginning from Bowlby’s idea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the representational model of the adult attachment culminated at Main’s idea of the state of mind. Its pattern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pondent’s discourse on the person’s memory related to attachment. The criterion of the classification lay in coherence in the discourse. The parental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infant’s attachment pattern were assessed direc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presentational model, the essence of the caregiving was considered to be metacognition and mentalization. Main’s metacognition was to think of self’s thinking and feelings. It included grasping the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and appreciating representational change and representational diversity. Fonagy’s mentalization was considered to develop the process of mind mediating between perceiving and responding. It was operationalized in the reflective functioning. Based on Main’s metacognition and Fonagy’s mentalization, five suggestions were constructed to enhance the caregiving. First, the caregiver recognizes herself or himself and the client as an individual. Second, the caregiver admits that her or his knowledge is limited. Third, the caregiver takes in herself or himself and the client as an intentional agent. Fourth, the caregiver believes that any representations might chan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and ecological contexts. Fifth, the caregiver communicates the commitment, trust, and joy associated with being a caregiver to the client in the coherent way of narrative.
한국어
이 논문은 보살핌을 제공하는 능력을 애착이론에 근거해서 분석했다. 애착이론의 연구결과들을 분석한 문헌연구다. 애착이론에서 유아의 안정형 애착유형을 형성하는 부모의 특징은 민감한 반응성이다. 이것이 보살핌을 제공하는 능력의 핵심이고, 안정 형 애착유형의 성인에게 나타난다. 그리고 성인의 애착유형은 유아의 애착유형과 연 속성을 갖는다. 이것은 성인애착의 행동체계모형을 근거하고 있다. 볼비의 내적작동모형에서 시작된 성인애착의 정신표상모형은 메인의 마음상태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마음상태의 유형을 애착기억에 대한 언어적 표현을 근거로 분류 하는데, 애착기억에 대한 대화의 일관성이 기준이다. 유아의 애착유형에 대응하는 부 모 혹은 보호자의 애착유형을 직접 측정한다. 정신표상모형에서 보살핌을 제공하는 능력의 특징으로 메타인지와 정신화가 제시된다. 메인의 메타인지는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반성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그것은 외양-실재 구별, 정신표상의 변화, 그리 고 정신표상의 다양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포나기의 정신화는 지각과 반응 사이에 마음의 매개적 능력을 성장시키는 과정이다. 그것은 성찰적 기능으로 나타난다. 메타인지와 정신화를 기반으로 보살핌 제공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언한다. 첫째, 보살핌 제공자는 자신과 피조력자의 독립성을 인정한다. 둘째, 보살핌 제공자는 자기 지식의 오류가능성을 인정한다. 셋째, 보살핌 제공자는 자신과 피조력자가 각자 의도성을 갖고 있음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넷째, 보살핌 제공자는 정신표상이 성장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인정한다. 다섯째, 보살핌 제공자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신뢰, 헌신, 그리고 기쁨을 일관성이 있는 대화로 피조력자에게 전달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내적작동모형
III. 메인의 마음상태와 메타인지
1. 마음상태
2. 메타인지
IV. 포나기의 정신화
V. 보살핌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제언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