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각

근대기 목포 유달산의 마애조각

원문정보

Rock Sculptures of Yudal Mountain in modern Mokpo, South Korea

이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intended to stimulate the discussion of the time and space between modern periods through the pieces of modern period sculptures remaining in the open port city of Mokpo Yudal Mountain. In Yudal Mountain, the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Buddhism, Japanese Buddhism, Japanese Shinto, and Taoism are expressed as rock sculptures. In 1913, Dalseongsa was founded as a missionary of Daeheungsa Temple, a traditional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astern Korean residence of Yudal Mountain. There are engraved with the letter of Maitreya written in 1925 around the temple. The type of faith is to expect to meet Maitreya Buddha in future time on the ground. In 1931, the founders of the Japanese Shingon Buddhism, Kūkai and the image of the King of the Bhudong were carved around the first peak, the center of Yudal Mountain. 88 sacred places were placed throughout the mountain. In Japan, there is a pilgrimage culture of Shikoku 88, which pilgrimages 88 temples related Kūkai. The 88 sacred places of Yudal Mountain reappears the Shikoku 88 pilgrim cilture. There are two pieces of rock shrine between the Kukai and Budong Myeongwang images: Inari shinto shrine and Yudal Mountain shinto shrine. Inari Shrine was built in 1931 by two Japanese residents of Mokpo. It is a form of a chamber and there is an altar in front of it. The fox, the messenger of Inari, is on the left and right. The Yudal Mountain Shrine is the form of plaque. The Taoist image is located at the ruins of Sanwangdaesungjeorn, west of Yudal Mountain. As the name suggest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dedicated to the sacrifice of the mountain gods. One of the statues is Teacher Samsan-gu-fu. Anthropomorphic figure of a monkey and chief of ground ghost from China. The modern rock sculptures of Mokpo Yudal mountain respond and respond with their own domain. Japanese Buddhism and shrine sculptures are the traces of modern colonialism that intended to localize Japanese culture. The Taoist part is traditionally united with Buddhism, but it occupied the area here as a phenomenon of the times. Dalseongsa Temple succeeded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 in the 1950s by overcoming the Buddhist statue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considered to be a way to find lost things and a means to recognize the prototype. There is controversy about sustainability, but these sculptures are very rare evidence of modern times in the open port city.

한국어

이 글은 개항 도시 목포 유달산에 있는 근대기 마애조각들을 통하여 근대기 시공간에 대한 논의를 자극하고자 하였다. 유달산에는 한국전통불교, 일본불교, 일본신도, 도교의 상이 마애조각으로 표현되어있다. 1913년에 유달산 동북쪽의 조선인 거주지를 향하여 전통불교사찰인 대흥사의 포교소로 달성사가 창건되었다. 1925년에 달성사 창건주 좌선장소에 미륵불 바위글씨가 새겨졌다. 신앙유형은 지상에서 미래시간에 미륵불과의 만남을 기대하는 것이다. 1931년에 유달산의 중심인 일등봉 주위에 일본 불교인 홍법대사상과 부동명왕상이 조각되고, 산 전체에 88영장이 안치되었다. 일본에는 홍법대사와 관련된 88개의 사원을 순례하는 시코쿠 88영장순례문화가 있다. 유달산 88영장은 시코쿠 88영장순례를 재현한다. 유달산에는 홍법대사상과 부동명왕상 인근에 두 개의 마애 신사 조각이 있다. 하나는 이나리신사[稻荷神社]이고, 또 하나는 유달산신사이다. 이나리신사는 1931년 일본 출신 목포 거주 두 사람이 건립하였다. 제단이 있으며 이나리신의 정령인 여우상이 좌우에 있다. 유달산신사는 현재 ‘사’자를 지워 유달산신으로 읽힌다. 도교의 신상은 유달산의 서쪽 산왕대성전(山王大聖殿) 터에 있다. 이름 그대로 산신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었다는 곳이다. 이곳의 도교 신상 중 하나가 삼산구후선사(三山九侯仙師)이다. 원숭이의 의인화된 모습이며 중국 유래의 지상 귀신의 통령이다. 또 하나는 토끼얼굴을 한 신이다. 목포 유달산의 근대기 마애조각들은 각자의 영역을 가지고 대응, 대척한다. 일본불교와 신사 조각은 일본문화의 현지화를 의도했던 식민지의 흔적이다. 도교 부분은 전통적으로 불교에 습합되나 시대적인 현상으로 이곳에서 영역을 차지하였다. 달성사가 1950년대에 조선시대 불상을 이운하여 전통불교사찰을 계승하는 것은 과거로 되돌아갈 수 없지만 잃어버린 것을 찾는 하나의 방법이자 원형을 인식하는 수단이었다고 여겨진다. 이 조각들은 개항장 도시에 매우 드물게 남아있는 근대시기 증거들이다. 앞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유달산의 전통불교와 미륵불 각자(刻字)
Ⅲ. 유달산의 일본불교: 홍법대사(弘法大師)와 88영장(靈場)
Ⅳ. 유달산의 일본신도: 이나리신사[稻荷神社]
Ⅴ. 도교의 신상, 산왕대성전 삼산구후선사(三山九侯仙師)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화 Lee, Kyung-Hwa. 문화재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