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관적 경력성공 선행변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원문정보

Anteceden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Keyword Network Analytic Review

배을규, 박상오, 박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nd discuss the research trends of Subject Career Success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total 125 studies on Subject career success were collected as subjects. After key 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95 key words of career satisfaction, 61 key words of job satisfaction and 70 key words of employability were sele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implemented with Net-Miner 4.3.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with networking, but employability has highest degree centrality with growth need. Second,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with protean career attitude. Third, in order to improve subjective career success, organizational/social level variables as well as individual level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agenda were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조직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공 관련 연구에서 주관적 경력 성공의 선행 변인들을 파악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 의 동향을 파악하고,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 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내에서 진행된 주관적 경력성공 관련 연 구들을 수집하고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125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경력만족 95개, 직 무만족 61개, 고용가능성 70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Net Miner4.3 평가판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 변인인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은 네트워킹과, 고용가능성은 성장욕구와 높은 연결중심성 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 용가능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선행변인으로 개인차원의 관련 변인뿐만 아니라 조직/사회 차 원의 관련 변인들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공 함양을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주관적 경력성공의 개념
2.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 동향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주관적 경력성공 네트워크 분석
2. 경력만족 네트워크 분석
3. 직무만족 네트워크 분석
4. 고용가능성 네트워크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을규 Bae, Eul Kyoo.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박상오 Park, sangO.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 박태연 Park, Tae Yeon. 인하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