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원문정보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ladon Ja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National Treasure No.326)

이선명, 권오영, 박종서, 한우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eladon jar with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 is an important chronology that shows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of the early celadon due to the inscription on the bottom including its purpose, application, and the producer. This celadon jar has been restored several times in the past. However, concerns over the structural stability, such as the separation and level differences in the joined cracks, have risen because of the aging of the repair materials, which were subjected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over a long time. By examining the conditions of preservation, the major damage was identified as the ‘入’ shaped crack on the front, the ‘V’ shaped restored part and the crack on its left side, and the ‘J’ shaped crack on the back side. In the past, the cracks were found to be joined using a refined lacquer containing camphor, drying oil, rosin, etc. mixed with soil powder. The joint line was repainted with the refined lacquer and covered with gold powder. The missing parts were restored with gypsum and colored with acrylic color. After that, the repair materials were aged and emergency treatment was perform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81. At that time, Cemedine C or Cemedine C mixed with microballoons was used for reinforcing the cracks. Conservation treatment focused on removing the past repair materials and reinforcing the physically fragile parts by joining and restoring them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preservation condition. in addition, the area around the restored part was colored for future exhibition.

한국어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굽바닥에 명문이 새겨져 용도와 사용처, 제작자를 알 수 있는 등 초기 청자의 제작 정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편년자료이다. 청자 항아리는 과거에 여러 번 수리복원 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해 처리 재료가 노화되어 균열부의 이격 및 단차가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우려되었다. 보존상태를 정밀 진단한 결과, 청자 항아리는 정면의 ‘入’자형 균열, 좌면의 ‘V’자형 결실부를 포함한 균열, 후면의 ‘J’자형 균열이 주요 손상부 위로 확인되었다. 균열부는 장뇌, 건성유, 송진 등이 포함된 정제 옻을 접착제로 토분을 첨가하 여 접합하고 접합선은 다시 정제 옻을 칠한 후 금분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실부 는 석고로 복원 후 아크릴 물감으로 색맞춤하였다. 이후 수리복원 재료가 노화되어 1981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응급처리를 실시하였는데, 균열부 보강을 위해 Cemedine C를 쓰거나 Cemedine C에 Microballoo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보존상태 진단 결과를 근거로, 과거 수리복원 재료를 제거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다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추후 전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복원부를 중심으로 색맞춤을 실시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보존상태 조사 분석
3.1. 표면손상 상태
3.2. 수리복원 상태
3.3. 수리복원 재료 분석
4. 보존처리
4.1. 세척
4.2. 접합
4.3. 복원
4.4. 색맞춤
5. 고찰
6.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선명 Sun Myu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권오영 Oh Young Kwo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종서 Jongseo Park.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한우림 Woo Rim Han.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