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주는 의미

원문정보

Meaning of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for Low Achieving Students

이준, 이윤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meanings that prospective teachers face during service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 preliminary professors who attended the H graduate school in Seoul and agreed to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who taught low achieving secondary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more than 60 hours of service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volunteer activities for underachievers have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s - “effort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underachievers”, “initiation to the path of teachers”, “Instruction based on the disposition and situ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the lives of the student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grew in the beliefs and attitudes as teachers necessary for the guidance and understanding of underachiever students, and the practical skill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hem. Third, in teaching the underachievers,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d "the slow pace of learning and the difficulty of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carrying out teaching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condition of the public school."

한국어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정규 교과목 중 하나인 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원의 학습부 진 학생 지도에 주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이고,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지도 전문성 함양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교육봉사활동 시 겪 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 재 H교육대학원에 교육봉사활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원 중 연구 취지에 동의한 22 명이다. 연구자료는 예비교원들이 학습부진의 문제를 안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60 시간 이상의 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봉사활동일지와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 관한 성찰에세이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원들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은 “학습부 진 학생과의 관계 정립을 위한 노력”, “교사의 길로 입문하는 경험 ”, “학습부진 학생의 성향 과 처한 상황을 고려한 안내”, “학습부진 학생의 생활을 마음으로 알아가는 과정”으로 학습 부진 학생 지도의 교육적 의미를 가졌다. 둘째, 예비교원들은 학생지도에 필요한 전문성인 “학습부진 학생의 지도 및 이해에 필요한 교사로서의 신념과 태도가 정립”되었으며, “학습부 진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능력 및 전략” 관련 역량이 함양되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원들은 “부진학생의 학습속도에 대한 이해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 과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및 실제성을 반영한 학습지도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 전문성
2. 교육봉사활동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경험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에주는 교육적 의미
2.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원의 학습부진 학생 지도 전문성함양에 주는 의미
3.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예비교원의 교육봉사활동 시 예비교원이 겪게 되는 어려움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 Lee, June. 한국외국어대학교
  • 이윤옥 Lee, Yun Oug.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