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ifferences of Creative Leadership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Work Prefer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roup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work preference,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level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reative leadership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roup differenc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groups(All, INT, EXT, NOT) with different levels of motivation according to work prefer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leadership (p<.01). The group with the highest creative leadership was the group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igh, while the lowest group was the group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motives low. Second,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work preference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p<.05). This result shows that creativity has a bipolar structure as studied by Amabile and that external motivations can play a synergistic role in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작업선호도에 따른 집단을 내외적 동기 수준에 따라 4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의 차이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선 호도 정도에 따른 내외적 동기 수준이 다른 4개 집단(상상, 상하, 하상, 하하)은 창의적 리더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냈다(p<.01). 창의적 리더십이 가장 높은 그룹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모두 높은 집단이었으며, 가장 낮은 그룹 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모두 낮은 집단이었다. 둘째, 작업선호도 유형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아효능감 총점에서 내외적 동기의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 결과는 Amabile가 연구한대로 창의성이 양극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외적 동기가 창의성 발현에 시너지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 대상자 및 연구절차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방법
2.5. 연구의 윤리적 고려
Ⅲ.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작업선호도, 창의적리더십,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3.2 작업선호도 정도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
3.3 작업선호도 유형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