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점토와 스코리아(Scoria)를 활용한 옹기소지(素地)개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ju Scoria Pigment Based on the Composition Ratio of Iron

김진희, 오창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utilization of cla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color and the practicality as clay by using Jeju soil and onggi clay as the basic clay, utilizing Scoria with the high iron content as an additive for the development of onggi clay, and then applying it to the pottery work. As Jeju is an volcanic island formed by volcanic eruptions, the eruption time of volcano 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Jeju soil worked as a reason why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were shown differently in each region. The 70% of the whole soil is the volcanic ash soil while the rest 30% is the non-volcanic ash soil. Just the non-volcanic ash soil(30%) could be used for pottery work. Currently, the high-quality soil is self-sufficiently collected from Daejeong-eup, Seogwipo-si, which is used for pottery work. However, as the process of collecting, supplying, and demanding soil is very difficult and the production form is based on small individuals, the change in clay composition is extreme, so that it is tough to have the standardized production of pottery clay. This problem with the supply and demand of clay is working as a cause for the difficulties to draw the uniform results in pottery work and also to vitalize Jeju onggi. For pottery work, the clay is an essential factor that decides the quality of products. Thus, after setting up the soil from Daejeong-eup of Seogwipo-si, Jeju, the fine onggi clay for Goryeo pottery, and Scoria distributed in Geomeunoreum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developed the onggi clay through the process as follows, and then applied it to pottery work. In the experiment for the development of clay, this study performed the processes of collecting/grinding a sample of soil from Sinpyeong-ri of Daejeong-eup, Seogwipo-si with the high iron content to create a certain particle state, making the basic clay by mixing it with the fine onggi clay for Goryeo pottery, and then producing clay specimens by changing the percentage of Geomeunoreum Scoria.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olor change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total six times of plasticity test were conducted in a certain temperature variation under 1190℃~1240℃. By analyzing the melting state and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plasticity temperature based on the results of plasticity tests,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and clay specimens were drawn and summarized. The developed clay mostly showed red color, which is the result of the iron in Jeju soil and Scoria. Also, when the percentage of Scoria was increased, the viscosity was decreased, which was more noticeable when the percentage of Scoria was 25% or up. The specimens showing the ideal color and melting state included the clay mixed in the percentage of Jeju soil(60%), onggi clay(40%), and Scoria(5%), and the clay mixed in the percentage of Jeju soil(60%), onggi clay(40%), and Scoria(20%). If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plasticity temperature could be partially utiliz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lasticity results, diverse color expressions and modern expression of Jeju onggi could be performed. Lastly, this study sought for/suggested the utilization of color for the developed clay in pottery work, utilization of local materials, and the practicality as clay, by designing the form of Jeju onggi in the aspect of modern practicality with the use of two developed clay showing the ideal results, and then actually applying the color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percentage and tempera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제주점토와 옹기토를 기본 점토로 사용하고 철분 함유량이 높은 스코리아(Scoria) 를 첨가물로 활용하여 옹기소지(素地) 개발을 진행한 후, 도예작업에 적용함으로써 색상에 따른개발 소지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는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섬이다. 폭발의 분출시기와 지리적 환경은 제주점토에 있어지역별로 그 성분과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전체 토양 중 70%는 화산회토이고 30%는 비화산회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화산회토 30%만 도예작업에 활용가능하다. 현재, 서귀포시 대정읍 지역에서 양질의 점토가 자급자족 형태로 채취되어 옹기작업에 사용되고있다. 하지만 점토의 채취 및 수급이 매우 어렵고 생산 형태가 개인 위주로 영세하여 도예작업에서 균일한 결과물을 도출하는데 문제가 있어 제주옹기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으로작용하고 있다. 도자작업에 있어 소지(점토)는 제품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신평리 점토와 고려도재의 고운 옹기토, 검은오름에 분포하고 있는 스코리아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옹기소지를 개발하여도예작업에 적용하였다. 소지개발 실험은 철분 함유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신평리의 점토 시료(試料)를 채취․분쇄하고 일정한 입자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쳐 고려도재 고운 옹기토와 혼합하여 기본 점토를 만든 후, 검은오름 스코리아의 비율변화를 주어 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소성(燒 成)실험은 온도에 따른 색상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총 1190℃~1240℃까지 일정한 온도 편차를 두어 총 6회 진행하였다. 소성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소성온도에 따른 용융(熔融)상태와 색상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용융온도와 시편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개발한 소지는 대체로 붉은 계열의 색상이 나타났다. 이는 제주점토와 스코리아 속에 철분 성분이 작용한 결과이다. 또한 스코리아 비율이 증가할수록 점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스코리아 비율이 25%이상 혼합되면 더욱 두드러지게나타났다. 이상적인 용융상태와 색상이 나타난 시편은 제주점토60%, 옹기토40%, 스코리아5% 비율로 조합한 소지와 제주점토60%, 옹기토40%, 스코리아20%로 조합한 소지였다. 결과 분석에서 나타난 소성온도에 따른 특성들을 부분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다양한 색상표현과 제주 옹기의 현대적 표현이 가능하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적 결과를 보인 두 가지 개발 소지를 이용하여 제주옹기의 실용적 측면에서형태를 디자인하고 스코리아 비율과 소성온도에 따른 색상변화를 실질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도예 작업에서 개발 소지의 색상 활용과 지역 재료의 활용, 옹기소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고찰
1. 제주의 형성과 스코리아(Scoria)
2. 제주의 풍토(風土)와 점토
Ⅲ. 소지(素地)개발 실험
1. 소지개발 실험의 방향
2. 시료(試料)채취 및 수비(水飛)
3. 소지조합 및 시편(試片)제작
4. 소성(燒成)실험
Ⅳ. 실험결과 분석 및 적용
1. 소성온도에 따른 용융(熔融)상태와 특성 분석
2. 개발한 소지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희 Kim, Jin-hee.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도예전공
  • 오창윤 Oh, Chang-yoon. 제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문화조형디자인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