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노사분규 사업장 내 노동조합 조합원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Group Bullying of Labor Union Members in Labor-Management Disputes

안성은, 이동연, 채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victim 's job motivation, organizational distrust, nervousness, turnover intention, frustration, stress and resistance, powerlessness and alienation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I was overwhelmed by the negative force of the collective union and experienced anger in the reality that one individual could not resist or find a solution. In additi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union members' fear of union bully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nion members who did not join the strike and those who did not join the strik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group bullying behavior is valid in that the union bullying behavior of the union is effective in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group,

한국어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같이 피해자의 작업동기 상실, 조직 불신, 신경과민, 이직의도 증가, 좌절감, 스트레스 와 감응저항, 무력감과 소외감을 나타냈다. 노동조합이라는 집단의 부정적인 힘에 눌려 일개 개인이 대항하거나 해결책 을 찾을 수 없는 현실에 분노를 경험하였다. 또한 노조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조합원의 두려움이라는 심리적 요인들이 파업에 합류하지 않은 노조원, 노조에 미가입한 근로자들에게 압력요소로 작용하여 기존 노동조합 노조원의 이탈을 방 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의 집단따돌림 행동이 비록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가 있다 고 하더라도 윤리적이어야 할 조직이 윤리적으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집단따돌림 행동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문제
2. 선행연구의 검토
2.1 직장 내 집단따돌림에 대한 선행연구
2.2 노동조합과 집단따돌림에 대한 선행연구
3. 연구설계
3.1 자료수집
3.2 질적 연구의 엄격성 확보를 위한 노력
4. 연구결과 분석
4.1 심적고통
4.2 고립감
4.3 불신감
4.4 불안감
4.5 원망함
4.6 간절함
4.7 긍정적 이해
5. 결론
5.1 연구 결론 및 시사점
5.2 향후연구 과제 및 한계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성은 Sung-Eun An.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 이동연 Dong-Yeon Lee.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채준호 Jun-Ho Chae. 전북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