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적경험을 위한 예술교육 : 경기학교예술창작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rts Educ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 A Case Study of Gyung-gi School District Arts Creation Center

홍기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s been significant increase in arts education programs in Korea in the past fifteen years. Related legislation and certificating system of art educators has been the critical source of such explosive boost. It has been pronounced at the time of legal provision for the support that its aim for arts education would surpass the constraints of then arts education system, which pose great emphasis on educating artists of technical competency. Hence, the general system of arts education could not but mirror the convention and ethos of technician inclined system in the art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ttempt to review and analyze the ongoing arts education program which has been launched with an objective to foster arts education centering on aesthetic experience. The program is designed by artist education director who is an active producer in children’s drama. The newly remodeled center run by the Gyung-gi School District Agency has run a pilot program during the first half semester solely devoting to sensory experience and perception cross cutting the conventional discipline. According to an in depth interview on the teaching artists and the participator survey the program has turned out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several construct of John Dewey’s theory on aesthetic experience. However, more is to be discovered in successive years to come.

한국어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및 관련 자격증제도의 수립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교육 프로그램은 급격히 증가하 였다. 당초 법제도 수립의 취지는 전문예술가 교육의 경직성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예술교육 체계의 한계 를 극복하여 미적 태도와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가치를 증진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었 다. 그러나 기존의 예술가 양성시스템에 대한 변화 없이 수행되는 예술교육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학교예 술교육의 체계 및 관점의 재생산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해 탈 장르적, 탈 기능적 예술교육을 목표로 설계되어 현장에 적용된 교육프로그램의 이론 기반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토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전인격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교육과 사회적 행동 의 연결성을 주장한 죤 듀이의 철학을 근간에 두고 설계되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연구를 통해 실제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과 수행이 듀이 이론의 개념적 요소들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사 례로 제시된 프로그램은 감각 경험, 지각, 질성적 사고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신 체성과 놀이의 특성을 명료하게 드러낸다. 또한 미적경험이 견인되는데 있어서 예술가교사들의 매개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도 보여지고 있다. 듀이 철학의 특징 중 하나인 사회적 행동과 연결되는 고리는 다 소 취약한데 이점은 프로그램의 설계와 수행에서 명료하게 제시 혹은 반영되지 못한데에 기인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이론적 배경
1. 듀이의 교육론에서 예술적 경험의 특징
2. 교사와 예술가의 역할
Ⅲ. 경기학교예술창작소 사례 분석
1. 프로그램의 개요 및 규명대상 문제
2.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징
3. 분석틀의 적용과 발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기원 Hong KiWon. 숙명여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