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이커 교육과 학교교육의 방향

원문정보

Direction of Maker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김종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and direction of maker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ker education is the emergence of new teaching methods using 3D printer for students, bringing motivation, active learning attitude and improving creativity. Second, students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by trying to solve problems through their ideas in the learning process. Third, group learning strengthens the interaction capability and increases cooperation and trust. They can help each other through dialogue in the process of creating prototypes of their ideas, which improves the ability to build relationships and increases confidence. Fourth, it giv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fully demonstrate their natural talents to their own qualities and aptitudes. In the meantime, because of the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e school education has a high importance on the given contents of education rather than individual talents. Fifth, expanding opportunities for ideas to be prototypes can save time and money. Sixth, the students improve their awareness and responsiveness by acting as a maker by group, and the concentration of makers is enhanced by providing a maker space. Seventh, the openness of school education coexists with lifelong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등장배경과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은 학생들에게 3D 프린 터를 활용한 새로운 교수방법의 대두이며, 학습동기유발과 적극적 학습태도를 가져오며, 창의력을 향상시킨다. 둘째, 학생들이 학습과정에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으로써 문제해결력을 높여준다. 셋째, 조별 학습은 상호작용 역량을 강화하고, 협력성과 신뢰감을 높여준다.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시제품을 만드는 학습과정에서 대화를 통해 서로 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는 관계형성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뢰감을 높여준다. 넷째, 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타고난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부여가 된 다. 그 동안 학교교육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개인의 재능보다는 주어진 교육내용에 중점을 두는 비 중이 높았다. 다섯째, 아이디어가 시제품으로 나올 수 있는 기회의 확대는 시간과 비용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여섯째, 학생들이 조별로 메이커 활동을 함으로써 적극성과 책임감을 높여주며, 메이커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집중력이 향상된다. 일곱째, 학교교육이 평생교육이나 직업교육과 협력하는 교육의 개방화가 확산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내용
Ⅱ. 이론적 배경
2.1. 메이커 교육
2.2. 3D프린터
Ⅲ. 메이커 교육의 전개와 확산
3.1 메이커 교육의 전개
3.2 메이커 운동
3.3 해외의 메이커 교육 사례[6]
3.4 메이커 교육의 확산
3.5 논의
Ⅳ. 시사점 및 결론
4.1 시사점
4.2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종두 KIm, Jong-Do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