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교육 관점에서 나노디그리 활용 방안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Utilization of Nano Degree in Higher Education

장윤재, 김자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nano degree for the change of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college credit and degree award is analyzed. Second, we analyze the nano degree program in Udacity. Third, we analyzed the nano degree in ter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matter of consideration when using nano degre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initiation and attention. It should be focused on the technology required by society and corporations. Also, possibility of credits and coexistence with university education. Companies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uccess of nano degree. The implication of using nano degree is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K-MOOC as an auxiliary means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change of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he identity of K-MOOC. In additio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support should be supported. Finally, nano degree can be used in software (SW) related fiel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direction of how nanodigly should be u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의 변화를 위한 나노디그리의 시사점과 활용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대학의 학점 및 학위 수여 변화를 분석하고, 둘째, 유다시티의 나노디그리 프로그램을 분석하며, 셋째, 4차 산업혁명과 정부의 교육정책 관점에서 나노디그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나노디그리 활용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간다. 나노디그리의 시작과 관심에 대한 맥락 이해가 필요하고, 사회나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위주여야 하며, 학점 인정 가능 성과 대학교육과의 공존이다. 또한, 나노디그리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업이 적극 참여해야 한다. 나노디그리 활용의 시사점으로는, 고등교육체계의 변화 보다 교육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과 K-MOOC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 가 있으며, 기업의 참여와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나노디그리는 소프트웨어(SW) 관련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나노디그리가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학위 제도의 변화
2.1 사회의 변화
2.2 나노디그리와 마이크로디그리의 등장
3. Udacity의 나노디그리 프로그램
3.1 나노디그리 운영 현황
3.2 나노디그리 특징
4. 나노디그리와 4차 산업혁명
4.1 나노디그리의 사용 분야
4.3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
5. 나노디그리 활용에 대한 시사점
5.1 나노디그리의 함정
5.2 나노디그리의 활용 방안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윤재 YunJae Jang. 정회원: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김자미 JaMee Kim. 정회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