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원문정보

New Paradigm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방기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to seek a new paradigm to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ducation by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 based of the organization and business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nd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relevant articles and research papers, the original curriculum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education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practical arts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Offices of Education,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s. had the problems such as non-allocation operation time on 3~4 grade cluster, the composition of content system by the fiel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ategoriz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reas excluded from agriculture. the composition of content that lacks diversity and future direction,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by the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was managed by cooperation among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was the programs such as a lack of connection with elementary curriculum, one-time operation of a program based on relevant act, a lack of awareness of ne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reflect on the concept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agriculture, a clea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operating conditions,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interest and support, systematic organization for program running,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program and material should be pursued. Especially, the connection between and existing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or new agricultural-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sought.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양농업교육을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과의 접목 에 의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써,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원문, 교육 및 농업 관련 기관의 조직 및 업무 내용, 관련 논문 및 연구 자료 등을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 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운영 내용 및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교육부의 국가 교육과정을 토대로 시·도 교육청, 시·군·구 교육 지원청이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교양농업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실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 었으며, 3~4학년군에 운영 시수 미배당, 실과 학문 분야별 내용 체계 구성, 농업이 제외된 기술과 가정 중심의 영역 구분, 다양성과 미래 지향성이 부족한 내용 구성, 교양농업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교수·학습 방법의 수행 과정과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 관련 기관에 의한 교양농업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이 교양농업 관련법에 의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도 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초 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미흡, 관련법에 근거한 프로그램의 일회적 운영, 교양농업교육의 필요성에 대 한 인식 부재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운영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통합 교 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농업의 개념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한 교양농업교육 내용 개발, 교양농업교육의 개 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 및 적용,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의 확대, 교육과정 및 운영 여건의 개선(이상 교육과정 측면), 교양농업교육에 대한 농업 관련 기관 의 관심과 지원, 교육과정 외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체계적 조직, 농업 관련 기관 주도의 교양농업교육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 및 지원(이상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 측면) 등이 요구되고, 교육 관련 기관과 기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 교육 관련 기관과 새로운 농업 관련 기관의 연계(이상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연계 측면) 등과 같은 새로운 접근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교양농업교육의 운영 내용 및 문제
1. 교육과정 측면
2.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 측면
Ⅲ.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새로운 접근
1. 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
2.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에 의한 교양농업교육
3.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외 프로그램의 연계에 의한 교양농업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방기혁 Bang, Gi Hyeog.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