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Cultural Contents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장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flection of cultural contents involved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suggested by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ix kinds of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y the three standards of culture contents. First, 19 cultural subjects suggested by 2009 Revised Curriculum are composed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analyzed. Second, the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of the five categories argued by Moran(2001): products, practices, perspectives communities, and persons. Third, the Three Circles of English conceived by Kachru(1996) were divided into inner circle, outer circle, and expanding circle and were analyzed. From the analysis of cultural types, the most frequent types were practices, followed by products, perspectives, communities, and especially persons was seldom presented. It is estimated that the education implementing tangible cultural products associated with practices and perspectives imbedded in each culture would give 1st middle school students easy access to various culture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common character found in 6 textbooks is that the proportions of countries of expanding circle took up more than 47.2% and all six textbooks mainly dealt with cultures of Asian countries and European cultures. The proportions of African, Latin American and Polar cultures were in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types of the textbook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among the continental cultur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systematic 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as well as other countries', and should be encouraged by themselves to study ways to teach cultures such as integrating lessons into other subjects and contributing to create a variety of materials for cultural education in language classrooms. Also English teachers should take a positive attitude in teaching the culture and make constant efforts in acquiring the culture-re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What is more, English textbooks should be presented a various of subjects, types, nations by cultural contents. Language and culture are essentially inseparable. we could find that proper communication is impossible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because a language deeply reflects the culture of its users.

한국어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가 문화 내 용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개정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19개의 문화 소재별, Moran(2001)의 유형별, Kachru(1996)의 문화 배경별로 분석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첫 번째로 문화내용 소재별로 분석한 결과는 취미, 오락, 여행, 건강, 운 동 등 여가 선용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개인생활, 공중도덕,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에 관한 내용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소재면 에 서는 문화내용을 세분화하여 제시한 7, 8, 9,10항목에서는 8번 항목인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내용이 차지하였다. 이는 소재면 에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소재와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문화내용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한 국가에서 오랫동안 행해 져 온 관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관습 중에서도 취미, 여가, 안전, 스포츠, 캠핑, 여행에 관한 내용이 차지 하엿다. 이는 요즘 주변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족 여행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취미와 여가생활을 교과서에 반영 한 흔적이라 하겠다. 세 번째로 문화내용 배경별로 분석한 결과는 확대되는 원에 속한 국가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확대되는 원에서으l 대륙별로는 아시아 문화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프리카 문화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아다. 또한 다양한 소재와 국가를 배경으로 하나의 문화 내용이 언어활동과 통 합하여 교육함으로써 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1.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구성 및 내용
2. 이론적 배경
1) 언어와 문화
2)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3)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 기준
4. 연구 결과 및 논의
1) 문화 내용 소재별 분석 결과
2) 문화 유형별 분석 결과
3) 문화 배경별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미순 Jang, Mi-soon.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