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전시동원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사법보호정책 - 朝鮮司法保護協會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olicy of Judicial Protec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Wartime Mobilization Regime -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Judicial Protection -

전시동원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사법보호정책 - 조선사법보호협회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한상욱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2집 2019.06 pp.319-35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Japanese Empire that occupied Korea designated Koreans who opposed its colonial policies as offenders and detained them through law.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just confining and punishing such persons on a temporary basi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offenders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ere was always a shortage of personnel and facilities in the judicial and penal system. Thus a more fundamental measure for the management of offenders and prevention of offenses was required,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mplemented "Protection for Offenders" as a measure for follow-up management. In the 1910s and 1920s, protection for offenders was called "protection for released criminals", and had a philanthropic, beneficent, and social service-oriented character. During this period, the work of protection was mainly undertaken by organizations for protecting released criminals that existed all over Korea. This was a partly governmental and partly non-governmental enterprise, and received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n, in the 1930s, as the criminal policy and governmental aspects of "protection for released criminals" came to be emphasized, that expression began to be replaced by "judicial protection". During this period, the movement for establishing contact between and regulation of judicial protection organizations was initiated, and consequently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Enterprise of Judicial Protection was established as a transitional institution in April 1934. Soon afterwards, the Japanese Empire switched to a wartime mobilization regime, and accordingly judicial protection began to be emphasized with respect to its role in maintaining public order in the home front and in securing human resources. Asa result, judicial protection was perceived as part of "national policy", and came to be enforc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During this process, the research association was progressively dismantled and replac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Judicial Protection in September 1941. The aim of the present dissertation was to examine the purpose of judicial protection during the wartime mobilization regime and its colonial character by analyzing the background for establishing the Korean Association for Judicial Protection, its organization process, and its substantive activities. Moreover, this dissertation sought to avoi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which from the criminal policy perspective restricted the wards of judicial protection to political offenders, and from the social service perspective construed judicial protection only as a part of relief work for offenders. Through its examin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Judicial Protection, this dissertation sought to establish that judicial protection was intended to cover all offenders including ordinary, political, and juvenile offenders, and was part of the colonial control policy based on criminal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e efforts undertaken in this dissertation will help us to determine the true nature of judicial protection carried out in colonial Korea through the Korean Association for Judicial Protection, and to arrive a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anagement of offend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한국어

조선을 강점한 일제는 법령을 통해 식민지정책에 반하는 조선인을 犯罪人으로 규정짓고 구금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인신을 한시적으로 구속하고 처벌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식민지기 내내 범죄인들의 계속되는 증가로 인하여 사법과 행형체계의 인력과 시설은 항상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범죄인 관리와 범죄 방지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방책이 요구되었고, 조선총독부는 사후관리책으로서 ‘범죄인에 대한 보호’를 실시하였다. 범죄인에 대한 보호는 1910∼1920년대에는 면수보호라고 불렸으며, 자선적·시혜적·사회사업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각지에 산재해 있던 면수보호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보호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조선총독부로부터 일정정도의 재정적 지원을 받았던 반민반관의 사업이었다. 이후 1930년대에는 면수보호의 형사정책적·관변적 성격이 강조되면서, 그 명칭은 사법보호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기존의 사법보호단체들의 연락과 통제를 도모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1934년 4월에 과도기적 기관으로 朝鮮司法保護事業硏究會가 조직되었다. 그리고 곧 일제가 전시동원체제로 전환함에 따라, 총후 치안의 유지와 인적 자원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사법보호의 역할은 중시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사법보호는 “국가적 정책”의 일환으로써 인식되었으며, 제도적으로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연구회는 1941년 9월에 朝鮮司法保護協會로 발전적으로 해체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朝鮮司法保護協會의 설립배경과 조직과정, 그리고 그 실질적인 활동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전시동원체제기 사법보호의 목적과 그 식민지적 성격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고는 기존의 연구가 형사정책적인 관점에서는 사법보호의 대상을 사상범에만 한정하고, 사회사업적 관점에서는 사법보호의 성격을 범죄인에 대한 구제사업의 일환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던 것에서 탈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식 하에 사법보호가 일반범, 사상범, 소년범 등 모든 범죄인들을 대상으로 상정하고 있었으며, 형사정책에 입각한 식민지 통제정책의 일환이었다는 사실을 협회를 통해서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노력은 조선사법보호협회를 통해서 식민지조선에서 실시된 사법보호의 실상을 파악하고, 일제의 범죄인 관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총독부의 사법보호정책
Ⅲ. 朝鮮司法保護協會의 설립과 구성
1. 조선사법보호협회의 설립 배경과 과정
2. 조선사법보호협회의 조직과 인적 구성
Ⅳ. 朝鮮司法保護協會의 활동
1. 기관지『朝鮮司法保護』의 발간성
2. 사법보호기념일과 사법보호운동의 실시
3. 소년보호기념일과 소년보호운동의 전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욱 Han, Sang Uk. 숭실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