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Practice and Tasks of Gyeonggi Democratic Civic Education - School Democracy Index -
초록
영어
The Candlelight Revolution revived the democracy in each field of society including educatio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established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Division in 2013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ecause of the reflection on democracy in the plaza and not in the school. It has been a core policy to build school democracy where all the school members discuss their own issues and tasks, implements them, and take responsibility of them in autonomous culture. Particularly, Gyeonggi Education has tried to realize social justice in education by listening to students’ voices and expanding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is effort has also been supported by activating student council, student engagement policy, and community deb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not only the school democracy education policy of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but also the results of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school democracy foundation”, “democratic school culture practice”, and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building”. Especially, it was a new challenge to measure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school democracy index and to find a solution for the school democracy. Education using civic education textbooks linked with the curriculum also help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students as a citizen who lives a autonomous and democratic life. These discussions will be the basis of school autonomy where the school tak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and operate the school democratically throug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education subjects such as students, parents, and school staff.
한국어
촛불혁명은 교육을 포함한 사회 각 분야의 민주주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는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경기도교육청은 2013년 전국 최초로 민주시민교육과를 설치 했다. 학교 구성원 모두가 자율과 자치의 문화 속에서 현안을 함께 논의하여 실천하고 결과에 대해 책임지며 함께 성장하는 학교민주주의 실현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였다. 특히 학생자치회 활동, 학생 정책결정참여제, 교육공동체 토론회 등을 통해서 학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교육활동 참여기회를 확장함으로써 교육에서의 사회정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의 학교민주시민교육 정책을 “학교민주주의 기반 구축”, “민주적 학교문화 실천”, “민주시민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학생중심교육의 성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민주주의 지수를 통한 학생의 교육활동 참여 문화 진단과 해법 찾기는 새로운 도전이었고, 교육과정 연계 시민교 육 교과서 활용교육은 주체적이고 공공적 삶을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학생의 역량강화에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논의는 학교가 교육에 대한 권한을 갖고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 교육주체들의 자발적 참여 를 통해 학교를 민주적으로 운영해가는 학교자치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학교민주시민교육과 사회정의
Ⅲ. 학교민주시민교육의 실천 : 학교민주주의 지수를 중심으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