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학생의 눈에 비친 미국 초등학교 규칙에 관한 연구 : 잠재적 교육과정에의 함의

원문정보

The study of U.S. school rules from the perspectives of newly arrived Korean children : Implications for an implicit curriculum

송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perspectives of newly arrived Korean children on the rules in their U.S. school. The art-based interviews with four Korean children show that they have learned implicitly the value of social order and safety in their U.S. elementary school. However, while the participating children generally accepted the structuring rules, they questioned the necessity of the protecting rules. Drawing on the Domain Theory,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Korean children’s strong rejection of the protecting rules as implying that their Korean elementary schools may implicitly teach students about what is considered the personal domain. The awareness of such an implicit curriculum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ducators, particularly for those who teach morals and ethics. This is because teachers’ lack of attention to the implicit curriculum could lead to students’ confusion between the moral domain and the personal domain. This study closes by suggesting that the participating children might have learned implicitly the law of the jungle in their previous Korean elementary schools.

한국어

본고는 네 명의 한국 전학생의 눈에 비친 미국 초등학교의 규칙에관한 연구로서, 궁극적으로는 연구 참가자들이 한·미 양국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배우게 된 가치와 규범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가자들과 미술을 활용한 개인 및 집단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그들이 미국 초등학교에서 질서와 안전의 중요성을 은연중에 학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참가자들은 미국 학교의 생소한 규칙가운데, 구조화하는 규칙은 대체적으로 수용하는 반면, 보호하는 규칙에 대해서는 그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도메인 이론과 기존 연구물에 근거하여 볼 때, 참가자들의 보호하는 규칙에 대한 강한 반발은 그들이한국 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무엇이 개인적 영역으로 간주되는지’를 은연중에 학습하였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교육자 일반,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덕과교사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왜냐하면, 교사의 지도 부재로 인해학생들은 도덕적 영역으로 간주되어야 할 행위들마저 개인적 영역으로인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참가자들의 공통된 목소리는 그들이 이전의 한국 초등학교에서 도덕적 가치와는 거리가 먼 ‘약육강식의 논리’를 은연중에 학습하게 된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잠재적 교육과정과 학교 규칙
2. 아동의 학교 규칙에 대한 인식
III. 연구 방법
1. 장소 및 연구 참가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연구 결과
2.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애리 Song, Aeri. 조지아대학교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과 박사과정 재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