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roactive behaviors in the mechanism which job crafting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contribute to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First, we tried to exte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w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roven job crafting,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work environment that enhances job satisfaction and reduce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raf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job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behavior. Fourth, proac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and job satisfaction. Fifth, proac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job crafting.
한국어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역할을 고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새로운 발현 기제를 증명하여 이를 통해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 고자 하였다. 둘째, 실증된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 발현 기제를 토대로 국내 조직 구성원 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일 터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잡 크래프팅 행동을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도전적 직무요 구 증가,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 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 요구 증가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주도적 행동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도적 행동은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섯째, 주도적 행동은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및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2. 주도적 행동
3. 조직유효성
4. 변수들 간의 관계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표본 및 자료수집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실증분석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정
2. 동일방법 편의 검증
3. 상관관계
4. 가설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
2.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