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rchive Exhibitions using Archival Contents

서은경, 박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chive exhibitions ar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archives that promote the value of archive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users’ interest and positive image but have not yet been activa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from a one-way archive exhibition to a new way to draw attention and understanding from users by using archival conten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ways to activate archive exhibitions by utilizing archival contents by analyzing the exhibits of domestic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ecords through archival contents, the proposed strategy for developing archive exhibition programs is a three-way contents-based exhibition, experiential exhibition, and digital environment-based exhib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archival exhibition programs that will enhance us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records.

한국어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브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의 관심 및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아카이브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기록콘텐츠를 이용하여 일방적인 정보전달식의 아카이브 전시에서 벗어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시방안을 시도하고 모색하는 움직임 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전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를 통하여 기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아카이브 전시프로 그램 개발 전략은 3-way 콘텐츠 기반 전시, 체험 기반 전시,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전시프로그램 현황 분석
3.1 상설 전시
3.2 기획 전시
3.3 가상투어 전시
3.4 온라인 전시
3.5 시사점
4.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전시 전략
4.1 3-way 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4.2 체험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4.3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은경 Eun-Gyoung Seo.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교수
  • 박희진 Heejin Park.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