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학

조선중기 과거시험에 대한 미시적 연구 - 『계암일록(溪巖日錄)』에 나타난 과거시험장의 폐단과 갈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icroscopic Study on the National Examination in Middle Chosen Dynasty - Study of the Problem and Conflicts at the Gwageo Test Site

채휘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conflict inherent in the pattern of conflicts and problems in middle Chosen Dynasty Gwageo exam site. Research was observed and classified the conflicts and problems in the exam site. And discussed the main factors that cause conflicts inherent in each case to the next. In such a perspective, the flow of this study was obtained after the main conflict factors by observing the symptom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conflict and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xamination questions and schedule a exam case that has changed from time to time chang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eople at the site. Second, depending on your location and hierarchy of the people testing opportunities were limited. This conflict was to exclude other people from the exam site. Third, there was a case to refuse the exam at the exam site, these actions was the desire to gain their advantage is reflected. Fourth, there were many things that do not adhere to the exam site specified regulations. In this case the exam site were unfair and cheating. From these facts means Gwageo exam was exposed on the surface, rather than being a place of intens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과거시험장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폐단의 양상에 내재 되어 있는 갈등의 성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과거 장의 현실을 미시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16~17세기에 영남지역에 살았던 김령(金坽) 의 계암일록(溪巖日錄)을 중심으로 일기에 나타난 과거응시 기록을 세밀하게 관찰 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일기에 나타난 과거시험장의 갈등 현상과 문제점을 자세히 관찰하여 사례별로 분류하고, 각 사례에 내재된 주요 갈등 요인과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의 흐름은 미시적 현상을 관찰하여 주요갈 등요인을 도출한 후에, 그 갈등과 문제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시험일정이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와 과거시험문제가 시험장에서 응시자들의 요구에 따라 변경되는 일이 있었다. 이 경우 과거시험일정의 변경은 과거를 주관하고 시행하는 국가적 필요에 따라서 이루어졌고, 과거시험문제의 변경 요구는 응시자에 의해서 요구되었다. 둘째, 과거시험장에는 과거응시자격을 둘러싸고 응시자의 거주지역과 응시자의 신분에 따른 갈등이 있었다. 응시자 거주 지역을 둘러싼 갈등은 해당지역의 응시자들 이 타 지역의 응시자들을 배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대립이었고, 응시자 신분에 따른 갈등은 기득권을 가진 응시자들이 응시 자격을 가지지 못한 서얼출신 응시자를 배척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거시험장에서는 과거응시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과거응시거부의 행위는 자신들의 유리함을 획득하기 위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실제 과거시험장에서는 규정에서 정한 사실과는 달리 다양한 부정행위와 불공정한 행위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행위에는 응시자에 의한 행위도 있었고, 과거시험을 관리해야 하는 관리들에 의한 행위도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과거시험은 단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인재선발이나 사회진 출 통로의 의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집단의 치열한 기득권 획득의 장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과거시험장의 폐단과 문제점
1. 시험일정과 시험 문제의 변경
2. 과거 응시 자격의 갈등
3. 과거응시 거부행위
4. 과거시험장의 부정행위와 불공정 선발
Ⅲ. 과거시험장의 갈등 현상에 나타난 원인분석
1. 일정 연기와 문제 변경의 원인
2. 응시자격 논란에 나타난 갈등 분석
3. 응시의 거부행위에 내재된 요인 분석
4. 시험 부정행위 현상을 통해본 과거의 성격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채휘균 Chae Hweikyun. 영남대학교 학교교육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