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플라톤의 정의개념과 반어적 대화

원문정보

The Concept of Plato's Justice and Ironical Dialogue

박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ironical dialogue through the definition of justice in Plato`s Republic. Here are the reasons why I am considering the study above. First, I`m going to look for the error in translation in ironical dialogue of Socrates and Cephalus about his definition of justice. Second, I will investigate the ironical dialogue of Socrates and the definition of justice by Polemarchus in the view of the subject and predicate. Third, for the definition of justice by Thrasymachus, I want to search for the ironical dialogue and analysis of conception, to specify the meaning and ironical dialogue that "Living for justice is to live a happy life."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re, First, For Cephalus, I could identify the language of the ironical dialogue comparing the interpretations of Cornford and Jowett. Conford translated it as 'a mad person', where as Jowett translated it as 'not in his right mind'. Second, referring to the definition of justice in the writing by Polemarchus, from the view of the subjects, I have figured out the ironical dialogue through discussing the real ideal between "a friend and an enemy" and for the view of predicates, I found the trends / meanings of ironical dialogue through investigating "What is harmful to others." Third, the ironical dialogue used to specify the meaning and definition of justice by Thrasymachus created the idea of analytical philosophy in Modern Times. Socrates agreed the definition of justice by Thrasymachus which is beneficial in our society, but disagreed with the idea of 'justice for the powerful', pointing out injustice, through ironical dialogue. Socrates also explained the happiness of human beings and justice, by observing the soul and reasons of man, through ironical dialogu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정의에 대한 정의(定義)를 통해 반 어적 대화가 어떻게 이루어져 가는지를 살펴보려고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케팔 로스의 정의개념과 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어적 대화과정 중에서 해석상의 오 류를 고찰하고, 폴레마르코스의 정의개념에 대한 주어와 술어의 관점에서 각각 소 크라테스의 반어적 대화를 고찰하며,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개념에 대한 개념분석의 관점과 정의롭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 되는 것에 대한 반어적 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목적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케팔로스(Kephalos)의 정의개념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어적 대화중에서 콘포드(Cornford)는 ‘멀쩡한 상태’의 사람이 무기를 받았다가 ‘미친 상태’의 사람이 되었을 때 무기를 되돌려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조윁(Jowett)은 ‘올바른 정신 상태’의 사람이 무기를 받았다가 ‘올바르지 못한 정신 상태’의 사람이 되었을 때 무기를 되돌려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둘의 해석상의 비교를 통해 나타난 미친 상태의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폴레마르코스의 정의개념에 대해, 주어의 관점에서는 친구와 적의 실제적 개념의 논의를 통해 반어적 대화의 흐름을 밝혔으며, 술어의 관점에서는 ‘남에게 해를 입히는 것’이 본질적으로 정의 개념에 어긋나는 점을 밝혔다. 셋째,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개념에 대한 의미를 명료하게 하려고 한 소크라테스 의 반어적 대화는 현대의 분석철학의 선구적 역할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개념에 대해 정의가 이익이 되는 것에는 동의 하지만, 강자의 이익이 되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음에 대한 반어적 대화를 시도함 으로써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개념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소크라테스는 인간 의 이성의 본질과 기능에서 바라 본, 행복과 정의와 관련성을 통해 반어적 대화를 극적으로 보여주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케팔로스의 정의개념과 반어적 대화
Ⅲ. 폴레마르코스의 정의개념과 반어적 대화
Ⅳ. 트라시마코스의 정의 개념과 반어적 대화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준영 Park, Zoon-young.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