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ession Ⅳ

경비원 감정부조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curity guard emotional disharmony on Job Performance

김태현, 류성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nted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sub-compression, a negative variable of emotional labor, on job performance, on security personnel working at private security companies, and further to verify how the impact on emotional sub-compression can affect job performance through the first draft of regulatio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study model showed that emotional edema was not a significant effect, but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that it did not affect the control focus itself. This revealed that emotional harmony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performance due to the present state and conflicting situations in one's emotions, which means that emotional harmony does not affect negative or positive effects depending on a person's attributes. It also showed that the temperamental control focus on job performance had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with an improvement focus and had a negative impact on employees with a preventive focus, and that a temperamental control focus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performance had an effect. This indicated that job performance was affected by a temperamental control focus and that employees with an improvement focus had a positive effec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this study are that it can have target differentiation in the areas where the study was conducted on guard workers, a social issue related to the study of emotional labor, and it can be meaningful that the study of emotional labor had a control focus and measur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tendencie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re will be contributions to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performance resulting from employee propensity and by linking it with a variable called emotional instability. However, the data collected have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 and region, and the emphasis on cross-sectional analysis and the representative of the various emotions to verify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the problem of securing reliability related to the adjustment focus verification ar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민간경비업체에서 근무 중인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감정 노동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감정 노동의 부정적인 변수인 감정부조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조절 초첨을 통해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이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감정부조화는 큰 영향은 아니지만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부조화가 조절초점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감정부조화가 현재의 상태와 본인의 감정에 서 갈등하는 상황이 나타나 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 것으로 감정부조화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속성에 따라 부정적인 효과나 긍정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직무성과에 대한 기질적 조절초점은 향상초점을 가지고 있는 종업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예방초점을 가진 종업원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감정부조화와 직무성과 사이를 기질적 조절 초점이 매개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무성과 가 기질적 조절초점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향상초점을 가진 종업원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와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감정노동의 연구와 관련하여 사회적 이슈인 경비종업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부분에서 대상의 차별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감정노동의 연구에서 조절초점을 가지고 긍정적인 성향과 부정적인 성향을 동시에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종업원의 성향에 따른 성과의 차이를 검증하고 감정부조화라는 변수와 연결시켜 검증한 부분에서 공헌점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가 대상과 지역의 한계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횡단적인 분석에 치중된 점과 감정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감정 중에서 감정부조화를 대표로 하였다는 점, 조절초점 검증관련 신뢰성 확보의 문제는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2.1 감정 노동
2.2 직무성과의 개념
2.3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
Ⅲ. 연구방법 및 가설
3.1 연구모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3.3 연구가설
3.4 측정도구
Ⅳ. 실증분석
4.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4.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4.3 신뢰성 분석과 변수들의 상관관계
4.4 회귀분석을 이용한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연구의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 Abstact >

저자정보

  • 김태현 Kim Tae Hyun.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류성민 Ryu Sung Min.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