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 말기 사립보통학교 졸업생의 진로 - 전주해성심상소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areers of Graduates From A Private Elementary School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 Focused on Cases of Jeon-ju Hae-seong Elementary School -

전병구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5호 2019.03 pp.177-20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were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one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Jeon-ju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Hae-seong Elementary School was the only authorized Catholic school in Jeon-ju at that time. Hae-seong Elementary School started in 1926, became a five-year school in 1930, was approved and opened in 1938. Students in Hae-seong Elementary School hoped for a better job and a higher school, along with religious reasons and expectations for a national education. However, the reality was not that smooth. It was not easy to get into a higher school that they had wanted, nor was it easy to get a decent job. To get a better job, they had to go to a higher school, but because of much difficulties of admission, they had to get better grades to get through the high competition. It was also difficult that they had enough money to cover the expensive tuition. Many students at Hae-seong School failed to go to a higher school even though their grades were good due to poor family econom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nationwide competition rate among middle schools in 1939, the acceptance ratio of high schools was 18.5%, compared to those who applied for high schools and 17.2% for vocational schools. In 1940, 95%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lso unable to apply for higher school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natural that Hae-seong students had poor entrance exam scores, because they had to compete with more public school students. At that time, students at Hae-seong School preferred to enter a teather’s school, an industrial or an agricultural school where employment was guaranteed after graduation, but only a few were successful. And a small number of boys entered the Jeon-ju North Middle School, while some girls entered the Jeon-ju Girls’ Middle School.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expected to get a job after graduating from Hae-seong School, but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m had to work poorly and most had to work at home. Many of the employed were tobacco monopoly workers in Jeon-ju. Even worth than it, there are 7 slavery workers who were captured by Japanese Hujikosi factory. It was a tragedy in that young girls were sacrificed in the midst of a difficult situation under colonial rule.

한국어

일제말기 전주에는 4개의 공립소학교와 1개의 사립해성심상소학교가 있었다. 해성심상소학교는 전주성당에서 설립 운영한 전주 유일의 인가받은 사립학교였다. 해성심상소학교는 1926년 여학원으로 시작하여 1930년부터 5년제 강습소가 되었고 1938년에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해성심상소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종교적 이유 및 민족교육에 대한 기대와 함께 상급학교 진학과 더 나은 취업을 희망하였으나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았다. 원하는 상급학교에 진학하기도 쉽지 않았고, 번듯한 취직도 어려웠다. 더 나은 취업을 위해서는 상급학교에 진학해야 하는데 심각한 입학난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뚫으려면 성적이 좋아야 하였다. 비싼 학자금을 부담할 수 있을 만큼 경제적 여유도 있어야 가능하였다. 해성학교 학생들은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성적이 좋아도 진학을 못한 사례가 많았다. 1939년 당시 전국 중등학교 입학 경쟁 상황을 보면 지원자 대비 고등보통학교 합격률이 18.5%이고 실업학교는 17.2%에 지나지 않았다. 1940년 교육기관별 학생 수 구성도 초등학생이 95%나 되었으니 대다수는 상급학교에 지원조차 못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훨씬 많은 공립학교 학생들과 경쟁해야 하는 사립해성학교 학생들의 입시 성적이 부진한 것은 당연하였다. 당시 해성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되는 사범학교나 공업 또는 농업학교 입학을 선호하였지만 극히 일부만이 성공하였다. 그리고 소수의 남학생이 일반계 전주북중으로, 일부 여학생들은 고등여학교에 입학하였다. 해성학교 졸업으로 취업을 기대했던 학생들도 일부만이 취업을 하였고 대다수는 가사에 종사하였다. 취업자 중에 전매국이 많았는데 전주에 전매국이 세워져 그 덕을 보았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일은 일본 후지코시 공장에 정신대로 끌려간 여학생 7명이다. 돈도 벌고 공부도 할 수 있다는 일제의 농간에 어린 여학생들이 희생된 비극이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진로 기록과 개황
III. 진학 상황
IV. 취업 현황
V.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병구 Jeon, Byeong-Gu.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