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considera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Based on teacher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허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regarding education reform treat teache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thods and tools for achieving the policy goals. With an emphasi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locking with efficienc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teachers are forced to reach specific targets and evaluated. Behind this i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caus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tempted to identify how teac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what the concept mea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rait theory based understand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limited and partial, and in knowledge-based society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of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 that Korean teachers conceptualize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 as stability and developing of social system, but recognize that it malfunctions. Moreover, it is foun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formed primarily from above(externally)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are imbalanced. This is partly because teachers connotate ideological meaning to professionalism and mostly because limited teacher autonomy which is the key for balance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understood and dealt from a relations approach. In other word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 only with the teachers but also shared by stakeholders of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students and parents, and researchers.

한국어

근래의 교육개혁 담론과 교육정책에서 교사와 교사전문성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과 방법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문가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교사의 탈전 문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교직특성 및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사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전문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을 특성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부분적이고 제한적이며, 교사전 문성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이 가치체계의 형성과 유지 및 발전의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나,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교사전문성 개념이 위로부터의 전문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인 정부,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에 대 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가 전문성에 대해 이념적 의미부여를 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교 사 자율성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전문성을 관계성(relation)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전문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교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 학생 및 학부모, 연구 자 등의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1. 교사전문성
2. 전문직으로서의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주 Hur, Ju.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