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기천 유역에서의 강우기 유량-SS배출 특성 및 원인분석 연구

원문정보

Analysis of flow rate-SS discharges characteristics and causes during rainfall season in Daegi-cheon Watershed

김종건, 이수인, 박병기, 원철희, 금동혁, 최중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aegi-cheon watershed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an River, which has the representative highland vegetable growing complexes. This watershed has a larg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n the upstream of the Han River by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turbid water during rainfall season. For proposing an efficient turbid water management and policy,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w rate and SS and its causes needs to be carried out preferentiall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rate and SS concentration was analyzed in the Daegi-cheon watershed, and in turn the turbid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normal flood flow condition, it was shown that SS concentration changed arbitrarily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SS concentration was considerably high in the very high flow condition. Based on the field survey, this could be the reason why the effects of the steep valley and slope collapse according to the very high flow rate as well as the source in the agricultural fields were greatly contribu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 that can stabilize the steep slope and reduce river bed loss along with the typical source managements plans.

한국어

대기천 유역은 한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고랭지 채소재배단지 중의 하나로 강우기 대규모 탁수를 배출하여 한강 상류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과적인 탁수관리 및 정책제안을 위해서는 강우기 하천유량과 탁수(SS)농도의 특성 및 원인분석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기 유량과 SS농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탁수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통의 홍수유량상태에서는 다양한 주변 환경요소로 인해 임의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첨두홍수량상태에서는 SS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현장방문관측을 통해 농경지 발생원뿐만 아니라 첨두홍수량에 따른 가파른 계곡과 사면의 붕괴에 의한 영향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발생원관리대책과 함께 경지주변 사면안정과 하상유실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적 최적관리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지역
2.2 유량-탁수 모니터링 및 현장 조사
3. 결과 및 고찰
3.1 강우기 유량-SS배출 모니터링 결과를 통한 탁수발생특성 분석
3.2 탁수발생 원인 및 관리대책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종건 Jonggun Kim.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이수인 Suin Lee.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박병기 Byeongki Park.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원철희 Chulhee Won. 동성엔지니어링(주)
  • 금동혁 Donghyuk Kum.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최중대 Joongdae Choi.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