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의 폭력성 부분이 일상적인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olence Part of Movie on Daily Life

이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ctions of viewers to the scene of violence (homely violence, verbal violence, tools violence) and to consider factors to consider when producing violent movie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lm producers can be more realistic in dealing with disputes and controversies in the home than in the overall contents of the film. Second, when film producers put verbal violence into the film, they would rather not use excessive verbal or profanity, but rather use a verbal that would not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s strange. Finally, film makers should use some tools to mosaic the tools used to express violence to others, thereby reducing some of the cruelty expressed in movies.

한국어

본 연구는 영화의 장면 중 폭력성(가정적 폭력, 언어적 폭력, 도구적 폭력)이 있는 장면을 관람객들이 시청했 을 시 나타나는 반응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폭력성이 많이 들어간 영화제작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하여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제작사들은 영화의 전체적인 내용 중에서 가정 내에서의 분쟁과 언쟁은 다룰시 폭력성을 표현하기 보다는 논쟁의 형태로 다루는 것이 더욱 현실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화 제작사들은 언어적 폭력 내용을 영화 속에 넣을시 지나친 욕설이나 협박 등을 사실성 있게 표현하 기 보다는 영화의 관계가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거나 언어적 폭력 단어를 무음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화 제작사들은 도구를 사용하여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을 표현할 시 도구 를 모자이크 처리를 하여 영화상에서 표현되는 잔인성을 일정부분 줄여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가정적 폭력
2.2 언어적 폭력
2.3 도구적 폭력
2.4 부정적 일상생활
3. 연구 설계
3.1 연구 모형
3.2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3 자료의 수집 및 분석
4. 실증분석
4.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변수와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3 가설검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지훈 Ji-Hun Lee. 서원대학교 생활경영학부 경영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