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본 염불의 의미 - 柳宗悅의 『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Meaning of Buddhist Prayer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 Focusing on Yanagi Soetsu‘s Namo Amituofo -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본 염불의 의미 - 유종열의 『남무아미타불』을 중심으로 -

유소정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30권 2018.12 pp.89-11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uman desire has spawn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desire is not satisfied. Thus,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s occurring.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nact ethics based on Buddhist teachings. This paper refers to the ‘empathetic humans‘. as a new paradigm of this era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impact mitigation through Buddhist belief. Today, we raise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ist prayer, the relationship between he prayer and Buddhist saints, and sought to suggest potential for new understanding, focused on Yanagi Soetsu‘s Namo Amituofo.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meaning of Buddhist prayer viewed from the angles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empathetic relations, the power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further alliance for healing. Praying of Namo Amituofo is Buddhist prayer as an answer to the faith as well as the resonance prompted from Amitabha. Also empathy means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oth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our mutually-dependent relationships. Buddhist prayer also enables the communication, which is pursuant of the stage of resonance beyond empathy. Recommending Buddhism to others while we live is a way for coexistence as mentioned at Pure Land Buddhism. Along the way, a resonance triggers another one and empathy evolves into ‘resonating empathy‘. Buddhist prayer can be used as a therapy and may provide new ideas and skills to improve human welfa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sychological counseling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ealing meditation contents through Buddhist prayer and the idea of Pure Land Buddhism. It is not only valuable as a new propagandistic alternative to Korean Buddhism, but it can be another way of propaganda.

한국어

인간의 욕망이 기술의 발전을 탄생시켰으나 욕망은 채워지지 않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의 소외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교의 가르침에 기반한 윤리 제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공감하는 인간’을 언급하고, 이를 위해 염불신앙을 통한 충격완화라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늘날 염불의 의미, 염불자와 불보살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바라볼 것인가란 문제제기를 하고, 야나기 무네요시의 『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공감과 공명의 원리를 통해 보면 염불은 소통과 치유 그리고 치료적 동맹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아미타불 명호를 부르는 것은 아미타로부터 유발된 공명이자, 염불자의 믿는 마음을 통해 나무아미타불하고 서로 응답하는 것이다. 또한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으로 상호의존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공감을 뛰어넘어 공명 단계를 지향한다. 삶 속에서 염불을 권진하는 것은 정토종에서 말하는 공생의 길이다. 공명은 또 다른 공명으로 이어지고 공감은 ‘공명하는 공감’으로 진화한다. 염불이 치료로서의 중요한 역할에 사용될 수 있고, 인간의 정신문화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염불을 통한 치유명상 콘텐츠 개발과 정토사상에 기반 한 심리상담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불교의 새로운 포교적 대안으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법포교의 또 다른 방법도 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본 공감과 공명
Ⅲ. 『南無阿彌陀佛』에 나타난 염불의 의미
Ⅳ. 염불을 통한 공감, 공명 그리고 공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소정 You, So-jeong.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