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예비교사의 시각자료 설명에서 나타나는 몸짓의 특징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ocial Sstudies Teachers’ Gestures in the Descriptions of Visual Materials

강창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eachers’ gestures are a representative body language, that have an important effect on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n this study, the types and function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gestures in describing various visual materials are observ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arious visual materials, including photographs, in high school teaching practice. They represented the position, shap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ntents with body orientation, position, hand and arm movements alongside various functional gestures. Second, the teachers’ gestures were divided into seven functions as follows: deictic(highlighting, pointing, outlining), iconic(representing, add-representing, positioning) and metaphoric(contents metaphoring) gestures. 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the function of highlighting, pointing and add-representing were observed as general gestures, while the remaining four functions were observed as special gestures with relatively low utilization rates. Finally,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ase classes was poor and the majority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of the simple question-response type. However, when teachers’ ‘pointing’ gestures are organically linked to visual materials and questions, students are more active, specifically in terms of responding and communicating.

한국어

교사의 몸짓은 대표적인 신체언어로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4명의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시각자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몸짓의 유형과 기능을 관찰,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교사들은 고등학교 수업실습에서 사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제시하고, 학습대상의 위치, 형상, 방향, 특성 등을 몸의 방향과 위치 및 손과 팔의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몸짓으로 표상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몸짓은 지시적(주목하기, 지적하기, 외곽선 그리기), 도상적(표상하기, 추가 표상하기, 위치 짓기), 은유적(내용 은유하기) 유형에서 나타나는 7개 기능으로 구분되 었다. 예비교사별로 개인차는 있지만, 주목하기, 지적하기, 추가 표상하기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몸짓이고, 나머지 4개 기능은 상대적으로 활용 비중이 낮은 특수한 몸짓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례 수업에서 학 생들과의 상호작용은 부진했고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단순 질의-응답 유형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의 ‘지 적하기’ 몸짓이 시각자료 및 질문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때 학생들은 좀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반응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과 교실환경
2. 분석방법: 몸짓의 유형 분류와 분석준거
III. 사회과 예비교사의 시각자료 설명에서 나타나는 몸짓의 특징
1. 예비교사의 시각자료 설명에서 나타나는 몸짓의 유형과 기능
2. 예비교사 몸짓의 기능별 사례와 움직임의 특징
3. 예비교사의 몸짓과 상호작용의 양상
IV. 정리 및 결론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창숙 Kang, Chang-Sook. 충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