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무엇이 PR 실무자의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 인하우스 PR 실무자의 직무 특성과 직업적 건강 상태가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탐구에 대한 연구
초록
영어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ich variables affect the practitioner’s occupational health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 model (Bakker & Demerouti, 2007). Methods This study used a survey of 205 practitioners from in-house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demand, and career development influenced job burnout while autonomy and career development influenced job engagement. Autonomy and job engagement were found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a healthy working environment full of work resources is important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house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한국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직무 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 JD-R model)을 적용하여 조직 (in-house)의 PR팀에 종사하는 한국의 PR 실무자들의 직업적 특성(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 직업적 건강 상태(occupational health)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탐구하고, 직업적 건강 상태 요인인 직무 소진과 직 무 열의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였다. 방법 총 205명의 기업의 PR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 직무 열의, 직무 소진, 직무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PR 실무자의 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 심리적 웰빙 요인은 직무 열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소 진에 영향력을 미치는 직무 요구적 특성들은 감정 요구(emotional demand)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적 요 인에서는 커리어 개발 기회(career development)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열의에는 직무 자원적 요인 중 자율성과 커리어 개발 기회가 영향을 미쳤다. 직무 자원 중 자율성(autonomy) 요인만이 업무 성과에 직접적 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PR 산업에 종사하는 PR 실무자의 업무 환경과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직무 요구, 자원적 특성들이 이들의 직업적 웰빙 상태-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와 직무 성과에 각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PR 실무자가 보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PR 업무를 하고, PR을 전 문적 직업과 지속 가능한 업으로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들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실 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ntroduction
Job Demands-Resources Model
Job Demands
The influence of job demands on employees’ job-related outcomes
Job Resources
The influence of job resources on employees’ job-related outcomes
The Current Study
The Influence of Burnout and Job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Method
Sample
Instruments
Results
Data Analysis and Model Fit
Hypothesis Testing (Figure 2 & Table 4)
Discussion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