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교과의 성격에 관한 탐색적 고찰

원문정보

Exploratory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s Arts Subject

김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using curriculum materials, major text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Practical Ar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 living subject, work oriented subject, integrative subject even though the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specified note and time period. Second, it was suggested to describe subject characteristic as ‘integrative problem solving subject’ instead of ‘integrative subject’ to express precisely the meaning of the concept in the viewpoint of knowledge structure. Third, it was suggested to describe subject characteristic as ‘practical life subject’ instead of ‘living subject’ to reveal the practice involvement in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objectives. Fourth, it was suggested to describe subject characteristic as ‘creative work oriented subject’ instead of ‘work oriented subject’ to emphasize on the value of work oriented education in the viewpoint of teaching methods

한국어

이 연구는 실과교과의 성격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교과 성격의 지향점을 제안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실과 교육과정 문서, 실과교육관련 전공 서적과 연구물을 종 류별, 시기별로 구분하여 성격의 범위, 도출 방법, 성격의 공통점과 적합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의 성격은 시기에 따라 상세화의 정도는 다르지만 생활교과, 노작교과, 통합교과 의 3가지 범주로 요약되었다. 성격에 부합하는 용어를 추가하여 교과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사례로 실천적 생활교과, 창조적 노작교과, 통합적 지식교과가 있었고, 성격을 더 명확하게 규정하 기 위해 기능과 종합을 노작과 통합으로 대체하여 정의하였다. 둘째, 지식구조의 관점에서 성격을 규정한 것은 종합교과, 통합교과, 통합적 지식/활동 교과 등 이 있었다. 단순히 통합 교과라고 규정한 것도 있었으나, 지식이나 활동을 추가함으로써 통합의 대 상이나 방법을 더 명확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 통합학습이 이루어지 는 실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통합적 문제해결’ 교과로 규정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해석하였다. 셋째, 교육목표의 관점에서 성격을 규정한 것은 생활교과, 교양 교육적 생활교과, 실천적 생활교 과, 실천적 생활능력교과, 생활기능교육 등이 있었다. 생활교육의 성격을 구체화하기 위해 교양교 육, 실천적 등의 용어가 추가되었는데, 실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생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필히 실천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교양교육적 생활교과’보다 ‘실천적 생활교과’가 더 명확하고 적합한 규정 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넷째, 교육방법의 관점에서 성격을 규정한 것은 기능교과,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 체험학습과 프 로젝트식/문제해결식 학습, 창조적 노작교과, 노작교과/교육, 노작 활동적인 기능교육, 창의적 기 능 교과 등이 있었다. 이들 중 교과 역량 함양과 창조적 변용 기회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노작교과 의 가치를 가장 잘 반영한 것은 ‘창조적 노작교과’로 판단되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교과 성격의 개념
2. 실과교육의 학문적 기초
Ⅲ. 실과 교육과정에서 교과의 성격
1. 1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2. 2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3. 3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4. 4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5. 5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6. 6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7. 7차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8. 2007 개정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9. 2009 개정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10. 2015 개정 교육과정시기의 성격과 특징
Ⅳ. 실과교육 관련 학술 자료에 나타난 실과교과의 성격
1. 대학 교재에서의 실과교과의 성격
2. 학술 논문에서의 실과교과의 성격
3. 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의 성격 논의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 요약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숙 Kim. Ji Suk. 공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