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2언어습득의 관점에서 본 모어가 다른 일본어학습자의 「ようだ・みたいだ」의 습득에 관한 연구 - 학습자 모어의 언어유형에 따른 습득 양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earning of the Second Language about the Grammar of Different Levels of Japanese Learners : Focused on the use of Yo-da and Mitai-da

윤상한, 최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features the learners have shown in the course of acquiring Yo-da, Mitai-da, and how the Mother-tung is affecting it.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expressed. (1)“Yo-da” and “Mitai-da” are used evenly, without being biased to either side, regardless of the Mother-tung. However, as the Mother-tung, the ratio of “Mitai-da ” increases. (2)“Yo-da” and “Mitai-da” have different preferred connections. “Yo-da” is mainly used in connection with verbs and nouns and “Mitai-da” is clearly used in connection with nouns. This tendency becomes stronger at isolating language learners, indicating Yo-da = Use with the verb at the higher level and Mitai-da = Use with the noun. (3)“Yo-da ” and “Mitai-da” differ from the positions used at the sentence. “Yo-da” is used in the technical department regardless of the lMother-tung, and “Mitai-da” tends to be used in the technical department as the Mother-tung. (4)The acquisition of “Yo-da” and “Mitai-da” shows the formation of frequently used units in strong combination with a particular phras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ようだ・みたいだ」의 사용양상을 통해 나타나는 습득의 특징, 그리고 학습자의 모어 유형에 따른 차이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ようだ」와 「みたいだ」는 모든 모어 유형의 학습자가 특정한 형식만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고르게 사용한다. (2) 「ようだ」와 「みたいだ」에는 빈번히 접속하는 형식이 다르고 그 비율이 서로 상대적이다. 「ようだ」가 동사, 명사 등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강한 반면, 「みたいだ」는 주로 명사만 접속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학습자의 모어 유형에 따라 다르며 교착어 및 굴절어 모어 학습자에서는 ‘ようだ=(상대적으로) 다양한 품사와의 사용’, ‘みたいだ=주로 명사와의 사용’이라는 양상이, 고립어 모어 학습자에서는 ‘ようだ=명사 중심의 사용’, ‘みたいだ=명사와의 사용’이라는 양상이 각각 뚜렷하게 나타난다. (3) 「ようだ」와 「みたいだ」는 문에서 사용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다. 「ようだ」는 학습자의 모어 유형에 관계 없이 비술부에서 사용되며, 「みたいだ」는 교착어 및 굴절어 모어 학습자에서는 술부와 비술부에 고르게 사용되고 있음에 반해 고립어 모어 학습자에서는 비술부에서의 사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강하다. (4) 「ようだ」와 「みたいだ」는 특정한 문법항목 등이 이들과 강하게 결합한 형식, 즉 유니트의 형성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유니트의 형성은 모든 언어유형의 학습자에게 공통되지만 특히 고립어 모어 학습자의 사용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의 검토 및 본 연구의 과제
3. 분석의 절차와 방법
4. 분석
5. 나오며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윤상한 Yoon Sanghan. 부산경상대학교 조교수, 일본어학
  • 최연주 Choi, Youn-joo .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