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 Analysis of the Preference Type of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in China – focused on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Streaming

원문정보

중국의 1인 게임 방송의 선호 유형 분석 – 배틀그라운드 1인 게임 방송을 중심으로

Ryung Seo, Taesuk Kih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in China and to examine viewers' preferences type of it. By targeting top 100 creators of Player-Unknown’s Battleground streaming as a personal game broadcaster with over 100,000 followers, the game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 of game broadcasting such as game play, entertainment, and audience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type of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in China was classified into progamer type, cooperative playing type, storytelling type, and reciprocal entertainment type. The progamer type was 38% and it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streaming. Next came storytelling type, cooperative playing type and reciprocal entertainment type with 25%, 19% and 18% respectively. In sum, progamer type and storytelling type which shows relatively low real - tim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of 63%. This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 media focused on 'showing' have influenced the production and planning of personal game broad casting.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of personal game broad casting can be expected to gradually change the conventional customs of broadcasting media.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인터넷 1인 게임 방송의 유형을 분류하고, 중국 시청자의 1인 게임 방송에 대한 선호 유형을 살펴보았다. 팔로워 수를 기준으로, 팔로우 10만 명을 돌파한 상위권 100명의 크 리에이터의 배틀그라운드 1인 게임방송을 대상으로 게임방송의 목적과 특징 요소인 게임플레이, 오 락성, 시청자 참여정도를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인터넷 1인 게임 방송의 유 형은 프로게이머형(Progamer Type), 협동플레이형(Cooperative Playing Type), 스토리텔링형 (Storytelling Type), 상호오락형(Reciprocal Entertainment Type)으로 분류되었다. 분석 대상인 배틀그 라운드 1인 게임 방송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방송 유형은 38%의 비율을 나타낸 프 로게이머형이다. 다음은 스토리텔링형이 25%를, 협동플레이형과 상호오락형이 각각 19%와 18%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실시간 시청자와의 소통이 낮은 유형인 프로게이머형과 스토리텔링 형이 6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보여주기 중심의 방송 매체 의 특징이 1인 게임 방송의 제작과 기획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게임과 1인 게임방송의 플랫폼이 갖는 상호소통적 특징은 점차 기존의 게임 방송 매체의 제작 관습에 변화를 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3. Type of Chinese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4. Preferred type of Chinese internet personal game broadcasting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정보

  • Ryung Seo 서령. Department of Game Design and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Taesuk Kihl 길태숙. Department of Game Design and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