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spects of Meta-affect According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Problem-Solving Processes
초록
영어
Since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s closely related to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eta-affect abi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general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ase analysis of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meta-affec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parallel with frequency analysis and case analysis. In other word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eta-affect, the frequency of meta-affective type, and the frequency of meta-functional types of meta-affe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small group members with similar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meta-affect by meta-functional types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level in detail. As a result, meta-affect in problem-solving processes of the upper level group acted as relatively various types of meta-functions compared to the low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the more affective factors acted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한국어
수학 문제해결 교육 연구에 있어서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적, 정의적 요소 의 상호작용 및 메타정의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라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라 협업적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정의 출현 빈도, 메타정의 유형별 빈도,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별 빈도를 비교 분석하 였다. 또한, 수학 학습 성취 수준별 메타정의의 메타적 기능 유형별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메타정의의 실제적인 작용 메카니즘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 성 취 하 수준 집단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상 수준 집단에 비해 메타정의의 출현 비율 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상 수준 집단의 메타정의는 하 수준 집단에 비해 상대적 으로 다양한 유형의 메타적 기능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수학 문제해결 수업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과 관련한 교육적 시 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의 메타정의
2. 협업적 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정량분석 결과
2. 정성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