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704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teaching and a variety of methods used by instructors of general education was positive. Second, students’ high-order competencies showed lower than the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e of cooperation with others was high while the perceptions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mpetence of mathematical problem analysis, usage of the perceptions IT resources, globalization, and employment were low.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medium. Third, compared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e levels of all the factors in this current study were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general education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s on assignments and tasks should be provided. Third, courses for improving competences of high-order problem solving, and usage of IT resources need to be offered. In addition, sinc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students’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high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boos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viding efficient methods for explaining course contents, and supporting adequate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학습성과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총 704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 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교양수업 담당 교수들이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강의 의 질에 대한 인식도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고차원 능력의 강조에 대한 인식은 다른 지표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양교육을 통해 팀원으로 활동하는 능력이 배 양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기여하였다고 인식하는 정 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수리적 문제 분석, IT자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대한 교양교육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 정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표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 학습활동, 학습 성과 및 교육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교육만족도와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식 및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적평가 방법의 다양화와 적정성 및 과제에 대한 피 드백 제공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수리적 문제 분석 능력, IT자 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교양교육의 기여정도가 많지 않다고 인식하 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의 개설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아 울러, 교수의 강의의 질 및 교수와의 교류가 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 교수자는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 강의 내용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 적절하고 충분한 학습 자료의 제공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목차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