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한 철화 안료 개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ron Pigment using Jeju Scoria

김진희, 오창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tilization of local materials and the new possibility of materials for pottery decoration technique, by developing the pigment with the use of scoria which is the natural underground resource of Jeju based on the composition ratio of iron, and also applying it to the pottery work. Jeju-do is a volcanic island formed by the eruption of lava for more than total 79 times and five times of eruption cycle. The volcanic ejec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volcanic eruption is the unique material of Jeju 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regions. Out of the pyroclastic materials, the scoria is formed when the magma is released in the air in the process of volcanic eruption. It is similar to the color of iron oxide(Fe2O3) of hematites, and in the component, it contains a great quantity of iron oxide(Fe2O3). The fact that the color and component of it are similar to the ones of iron oxide(Fe2O3) has been led to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ron pigment using jeju scoria. Like this, the research through the exploration of local materials for pottery work could symbolize the region and also have positive influences in the aspect of securing the identity. Thus, this study set up the scoria distributed in red volcanic cones of Gasi-ri, Pyoseon-myeon, Seoguipo-si, Jeju, developed the pigment based on the composition ratio of iron through the process as follows, and then applied it to the pottery work. In the research process, first, after collecting and crushing the scoria sample of red volcanic cone with the relatively-high content of iron, the crushed sample was strained through a sieve to observe the result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ifference of grain size of scoria. Second, by mixing the strained scoria with white pottery clay in the proportion of 6:4 and then straining it through the No.150 sieve, the scoria basic pigment was developed. Also,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ratio of scoria, the pigment was developed by dividing the proportion with white pottery clay into 6:4, 4:6, and 7:3. Moreover, to obtain the finer-grained pigment than the sample of pigment strained through the No.150 sieve, it was experimented by changing the time of crush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the use of ball mill. Third, the sample was produced in the regular thickness and size, and the developed iron pigment was used for decoration. To verify the degree of color and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overlapped brush-painting, it was decorated in the division of one time and three times. After performing the oxidative calcination in the electric kiln at 1250℃ for nine & half hour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urth, after dividing the outcome of sample calcination into the difference of grain size, change in the composition ratio, and the time change of using the ball mill,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lor, the ideal sample was drawn and suggested. The iron pigment mostly showed the dark brown color, and different results were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of grain size. And, diverse changes were shown in all the pigments. Also, regarding the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overlapped brush-painting, with the one time brush-painting, the gloss and melting state of glaze were excellent while the spreading effect just like iron-decoration was revealed less. Even though the rough iron pigment(No.40) was tough to be applied to decoration, the color and crystalization were great. If such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to the decoration process, it would be possible to obtain the new and unique results different from the iron decoration. The sample showing the most ideal result was the pigment in the mixture of scoria strained through the No.150 sieve and white pottery clay in the proportion of 7:3 in the operation of ball mill for two hours, and in this case, the brush-painting was easy in the decoration process. Lastly,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ed pigment for pottery work, the utilization of local materials, and the diversity of pottery painting expression were sought for and suggested, by applying the developed iron pigment to the decoration of plates.

한국어

본 연구는 철화(鐵畵) 조성비를 기본으로 제주의 천연 지하자원인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한안료 개발을 진행하고 도예작업에 적용함으로써, 지역 재료의 활용성과 도예 장식기법의 새로운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도는 5회의 분출윤회의 시기와 총 79회 이상의 용암 분출로 생성된 화산섬이다. 화산 분출 과정에서 생성된 화산분출물(火山噴出物)은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제주만이 갖는독특한 소재이다. 화산쇄설물(火山碎屑物) 중 스코리아(Scoria)는 화산폭발 과정에서 마그마가대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적철석 계열의 산화철(Fe2O3) 색상과 비슷하며, 성분에서도 산화철(Fe2O3)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산화철(Fe2O3)의 색상과 성분이 비슷하다는 점은 철화 조성비를 기본으로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한 철화 안료 개발 연구로 이어지게 하였다. 이처럼 도예 작업에서 지역성을 갖는 소재 탐색을 통한 연구는 그 지역을 상징화할 수 있고,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붉은오름에 분포하고 있는 스코리아(Scoria) 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철화 조성비를 기본으로 한 안료를 개발하여 도예작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은 첫째, 철분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는 붉은오름 스코리아(Scoria) 시료(試料)를 채취하고 분쇄한 후, 입도차이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분쇄한 시료를 채로 걸러내는 과정을 거쳤다. 둘째, 입도차이에 따라 걸러낸 스코리아(Scoria) 분말을 백색자기토와 6:4의 비율로 배합하여기본 안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안료 조성 비율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6:4, 4:6, 7:3의 비율로 구분하여 철화 안료를 개발하였다. 더불어 더 고운 미립질의 철화 안료를 얻기 위해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 시간의 변화를 주어 실험하였다. 셋째, 시편을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제작하고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하여 개발한 철화 안료로 시문하였다. 이 과정에서 붓의 겹침 횟수에 따른 발색 정도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1회에서 3회로 구분하여 시문하였고, 전기가마를 이용하여 1250℃에서 9시간 30분 동안 산화소성한 후, 결과 분석을 하였다. 넷째, 시편 소성(燒成) 결과물을 입도차이와 조성 비율 변화, 볼밀을 사용한 시간 변화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특징을 비교·분석한 후, 이상적인 시료를 도출하고 제시하였다.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하여 개발한 철화 안료는 대체적으로 흑갈색계열의 색상이 나타났고 입도차이에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안료에서 다양한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붓의 겹침 횟수에따른 결과는 1회 붓칠을 했을 때 유약의 광택과 용융(熔融)상태가 좋게 나타났고, 철화에서와같은 번짐 효과는 적게 나타났다. 40목(目)의 거친 철화 안료는 시문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색상과 결정현상이 좋게 나타났다. 시문과정에서 이와 같은 특징이 반영된다면 철화기법과다른 독특하고 새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보인 시료는 150목(目) 채로 거른 스코리아(Scoria) 분말과 백색자기토를 7:3의 비율로 배합하고 2시간동안 볼밀을 돌린 철화 안료였으며, 시문과정에서 붓칠이 용이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철화 안료를 접시에 시문하여 적용함으로써, 도예 작업에서 개발 안료의가능성과 지역 재료의 활용성, 도예 장식기법의 다양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철화기법과 철화 조성비
2. 제주의 형성과 스코리아(Scoria)
3. 제주 스코리아(Scoria)의 특징
Ⅲ. 스코리아(Scoria)안료 개발 실험
1. 스코리아(Scoria) 시료(試料) 준비과정
2. 철화 안료 조성
3. 시편(試片) 제작
4. 시문 및 소성(燒成)
Ⅳ. 실험결과 분석 및 적용
1. 결과분석
2. 개발한 철화 안료의 적용
Ⅴ. 결론
도표·그림목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희 Kim, Jin-hee.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도예전공 석사과정
  • 오창윤 Oh, Chang-yoon. 제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문화조형디자인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