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기획논문 ]

성호학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Knowledg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Seongho School

윤재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a aspect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Seongho School. This knowledge group has not only knowledge but also various collective common denominators, but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chool in that it is based on knowledge. The “Seongho School” shows that most of its members are homogeneous in their political propensity, family, and real circumstances, living environment, status and social status, and that they are univers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school are thought to be due to the educational method of Seongho, which emphasized 'doubt and self-awareness'. This academic method is meaningful not only as a surname but also as a basic academic method of the school. Therefore, the Seongho school is a group of knowledge made by the consent of the Seongho education method along with the respect for the teacher Seongho. As such, the Seongho school was forced to be divided after the death of Seongho. The members of the Seongho school pursue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tself by clashing at various points after the fate of Seongho, but the school could not maintain its full appearance. The change of the Seongho School has a basic meaning in that it shows bot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rnal system through reproduction by academic self-dispersion and the conflicting tendency to survive through academic solidification. In addition to this basic meaning, however, it has another meaning in that it clearly shows that the existence of the knowledge group, the school, depends on the power of the great social vested rights.

한국어

이 글은 성호학파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지식 집단’이란 동일 지식을 소유한 지식인들의 집단이다. 이 지식 집단은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 내적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지만, 지식을 근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학파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성호학파’는 구성원 대부분이 정치적 성향과 가문 그리고 현실적인 처지와 생활환경, 신분과 사회적 위상에서 동질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학파의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이와 함께 학파 구성원들의 학문적 속성에서 동질성과 함께 상당한 정도의 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의 일반적인 학파와는 다른 모습 역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성호학파의 특성은 ‘懷疑와 自得’을 강조했던 성호의 교육 방법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 학문 방법은 성호뿐만 아니라 성호학파의 기본적인 학문 방법으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성호학파는 스승인 성호에 대한 敬畏心과 함께 성호의 교육 방법에 대한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 지식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성호학파는 성호 사후에 분열될 수밖에 없었다. 성호학파의 구성원들은 성호의 운명 이후 다양한 지점에서 충돌하면서 지식 자체의 발전을 추구했지만 학파는 끝내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 수 없었다. 성호학파의 변화 양상은 하나의 학파가 학문적 자기 분열에 의한 증식을 통해 내적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학문적 공고화를 통해 존속해 나가는 상반된 두 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본적인 의미 이외에도 학파라는 지식 집단의 존속이 거대한 사회 기득권의 힘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지식인과 지식 집단
3. 성호학파, 새로운 지식 집단의 형성
4. 학파의 변이와 내재된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재환 Yoon, Jae-hwan.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