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학의 가족관에 내포된 정감적 계기와 규범적 계기-도덕적 이상실현의 수단과 목적의 조화를 지향하여-

원문정보

Normative Instrument and the One with the Moral Emotion Contained in the Family Values of Confucianism

엄연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family with normative instrument and the one with the moral emotion as the center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which the traditional world view and western one operate at the same time. Also, this paper tried to illuminate the present meaning of Confucian family values through problem diagnosis connoted in family relations in korean society. The emotion principle involved in family ethics of Confucianism starts from the couple and goes through with blood family relations, dispread to society, nation and world explicitly This advances from blood family ties to normative political order and works out the way through which one spreads familial warmth. However, the emotion principle of blood family ties has a spontaneous and purposive meaning over the instrumental and normative principle. In this way, the honesty that Confucius said imbues emotion moral principle of Confucianism with special significance. But, the moral emotion according to blood and feeling sometimes has good chance to go forward in the negative direction. This becomes reason emphasizing normative order in Confucian philosophy What the normative principle and chance are stressed in Confucian philosophy tried to control corruption and disorder of the moral emotion of blood and feeling. In the case of deviation to the private feelings, this has to receive control and restriction of the proprieties and legislation as objective moral law. Conclusionally, political ideal of Confucianism could be realized when nation and society are integrated with public interests[公共善] harmoniously by being governed properly accoding to regulations as political criterion lied on blood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한국어

이 글은 전통적 세계관과 서구적 세계관이 동시에 사회 국가의 운영원리가 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 가족(家族)의 의미를 유가철학의 가족관에 내포되어 있는 정감적(情感的) 계기와 규범적(規範的) 계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가족’관계가 내포하고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통하여 유가적 가족관이 지니는 현재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유학의 가족 윤리에 내포된 정감적 원리는 부부로부터 시작하여 혈연적 가족관계를 거쳐 외연적으로 사회, 국가, 천하로 확대된다. 이것은 혈연적 정감적 친친(親親)에서 정치적 규범적 원리로서 존존(尊尊)으로 나아가며, 추은(推恩)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친친의 정감적 원리는 예의와 법 등의 수단적 규범적 원리를 넘어서 자연적 목적적 의미를 가진다. 공자가 말하는 ‘정직’은 이러한 관점에서 유학의 정감론적 도덕 원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하지만 혈연적 정감적 도덕 감정은 때로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유가철학에서 규범적 질서를 강조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유가적 가족 관계에서 규범적 원리와 계기가 강조되는 것은 혈연적 정감적 도덕원리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정감적 도덕 감정으로서 친친(親親)의 진정한 의미는 덕을 가지고 친족을 바르게 친애하는 것이다. 이것이 불가능하여 사적인 감정으로 흐르는 경우에 이것은 공적이고 객관적인 도덕률로서 예의(禮義)나 법(法)의 제어와 규제를 받아야 할 것이다. 정치적 규범적 질서를 목표로 하는 도덕규범의 계기는 혈연적 정감의 치우침을 조절하면서 정감적 도덕 원리를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유가철학은 이러한 예의(禮義)를 통하여 통치의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유가철학의 정치적 이상은 국가 사회가 이처럼 혈연적인 인의에 바탕하여 정치적 규범으로서 예의에 의해 적절하게 통치되어 공공선의 조화로운 통합이 이루어질 때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제적 이기주의가 심화되어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유가철학의 가족관에 내포된 정감적 유대의식과 규범적 질서의식을 통한 조화와 균형의 이념은 미래사회의 보편적인 가치기준이 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정감과 규범을 포괄하는 도덕 이념적 토대
3. 유가적 가족 윤리의 혈연적 정감적 계기
4. 유가적 가족 윤리의 정치적 규범적 계기
5. 현대적 가족에 있어서 유가적 가족관의 의미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연석 Eom, Yeon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