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판 미래사건 질문지(K-FEQ) 척도의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ture Event Questionnaire(K-FEQ)

현희진, 김정숙, 이종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translated the Future Event Questionnaire(FEQ) developed by Mirand and Mennin(2007) and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and validity of the scale. A total of 1,166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rst phase (n=287) were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data from collected in the second phase (n=879)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a two factor structure-“positive prospective cognition” and “negative prospective cogn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a satisfactory factor loadings and fit indices of this scale. In addition,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existed. Given the above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FEQ has been identified as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positive and negative prospective cognition. We furth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K-P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Miranda와 Mennin(2007)이 개발한 미래사건 질문지(Future-Events Questionnaire)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척도의 요인구조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총 1,166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차로 수집된 287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2차로 수집된 879명의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에 사용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요인이 산출되었으며, 이 중 요인 1은 ‘긍정적 미래인지’, 요인 2는 ‘부정적 미래인지’로 명명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해당 척도의 요인 구조에 대한 요인 부하량 및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집중(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판 미래인지 척도가 긍정 및 부정 미래인지와 관련된 특성을 측정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판 미래사건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및 절차
측정 도구
분석 방법
결과
문항분석
신뢰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수렴) 타당도 검증
판별타당도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현희진 Heejin Hyeon.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김정숙 Jeong Suk Kim.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의료관리학과
  • 이종선 Jong-Sun Lee.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