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수용요인 - 인지된 조직지원과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Factors of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 Focused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보현, 최양미, 이홍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eptance factors of Smar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e analyzed the structural influen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Smart Education,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Smart Education’s intention by applying a TA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7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greater impact on usability than the ease of Smart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re the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s were aware of the usefulness of Smart Education, the more assertive was their intention to utilize it in their teaching practic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Smart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in order to activate Sm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support for this is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수용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 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하여 인지된 조직지원, 스마트 교육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 성, 태도, 그리고 스마트 교육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417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조직 지원은 스마트 교육의 용이성 보다는 유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교육에 대해 유용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 영유아 교사일수록 스마트 교육 운영에 대해 적극적인 의도를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유용성에 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측정모형 검토
2. 기초통계량 및 상관분석
3. 구조모형 분석: 스마트 교육 수용 요인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보현 Kim, Bo-Hyun.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최양미 Choi, Yang-Mi.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이홍재 Lee, Hong-Jae.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