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foreign workers(from 15 countries) working in Korea and to develop the foreign workforce policy through study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ich can be achieved from “cultural value” in jobs. To achieve the goal, it starts from studying ‘the level of foreign workers’ cultural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by taking 6 perspectives of cultural value(G. Hosfstede, 2010). The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is taken, which are ‘Value Research Module’ containing 24 items developed by Greet Hofsteded in 2013. Translation of the materials had been conducted for 4 months(April to July, 2014) and sampling had been done for 5 months(July to November, 2014). Target population was the foreign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in SMEs’ for more than 2 years. The number of survey returned was 1,200 and 1,164 valid samples had been selected and analyzed. Followings are analytic results of this resesarch. First, foreign workers’ individualism index(IDV), power distance index(PDI), masculinity index(MAS), uncertainty avoidance: strong index(UAI), Long Term orientation index(LTO), and indulgence index(IVR) etc. which are 6 cultural values in job are relatively different and those differences has significanc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foreign workers’ labor consciousness which was also significant.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its significance is placed on the utilization of this data for foreign workforce policies later on.
한국어
본 연구는 2004년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대한민국에 입국하는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가치문화 조사로 개인주의 지수(individualism index: IDV), 권력거리 지수(power distance index: PDI), 남성적 지수(masculinity index: MAS), 불확실성 회피 지수 (uncertainty avoidance:strong index: UAI), 장기지향지수(long term orientation index: LTO), 자적지수(indulgence index: IVR) 등 여섯 가지 관점에서 수준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Hofstede의 2013년 가치조사모듈(Values Survey Model)을 활용하여 직업문화가치 수준을 진단하였고 직업가치 문화 간 국가의 부, 인구크기 교차비교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 째, 외국인근로자의 유형 간 여섯 가지 관점 직업가치문화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직업가치문화 간 교차비교 결과 개인주의, 권력거리의 불평등, 남성상,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 자제문화 성향을 나타났다. 셋째, 권력거리지수와 인구크기는 비교결과 인구크기 1억 명 이하에서는 유의수준 95%에서 상관계수가 0.710로 상관관계는 강한 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국가의 부와 권력거리지수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개인주의지수는 국민총소 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이 3,600불 이상에서만 유의수준 95%에서 상관계수가 0.963로 상관관계는 높게 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15개국 외국인근로자 전체를 대상으로 직업가치문화 조사를 처음실시 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이민정책 방향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가치문화에 대한 연구
2. 직업가치문화의 여섯 가지 관점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과 가설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Ⅳ.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직업가치문화 지수
3. 직업가치문화 교차비교
Ⅴ.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제언 및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