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Debris Flow Hazard Mapping and Initiation Point prediction using GIS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에 대한 예방 및 리스크 분석을 위하여 선행되어야하는 발생위험지 도의 작성법에 관한 연구이다.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위험지도는 통계적 분석 방식에 기본하여 다양 한 산사태 발생인자 중 사면경사, 방위, 길이, 곡률, 지형습윤지수, 임상, 경급, 토심, 모암의 9가지 인자별 영향력에 대해 가중치를 주고 총 5등급 확률로 구분하여 산사태의 발생 위험을 나타낸다. 산사태의 여러 형태 중 토석류의 발생 예측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지역의 발생위험을 고려하기 위해 기존의 통 계적 발생위험에 공학적 발생위험도를 추가로 분석하여 취약 예상 지점을 구하고,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 기 위하여 고해상도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및 등급 분류를 실시하여 국지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세부 적인 분석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토석류 발생 위험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발 생지점의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본론
3. 결론
3.1. 분석 결과와 지도 작성
3.2. 분석 결과와 실제 발생 지점 비교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3. 결론
3.1. 분석 결과와 지도 작성
3.2. 분석 결과와 실제 발생 지점 비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