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SFE-O6

산지환경 변화조건을 반영한 산사태위험지도 현행화 구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updating the landslide hazard map to reflect changes in forest environments

강민정, 배현석, 이광연, 이종서, 김성환, 임영협, 박소현, 채희주, 이상호, 우충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지토사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피해 예방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선진정책과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발생 이 후 체계화된 산사태위험지도는 전국 산림을 산사태위험도 1~5등급으로 평가‧분류하여, 국가 차 원의 산사태 예측정보를 제공 중이다. 하지만, 산사태위험지도의 경우 개발 당시 산지 피복 및 지형여건을 반영하며, 변화된 위험성은 반영되지 않아 지속적인 정확도 제고가 필요한 실정이 며,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위험지도를 현행화하여, 실질적인 산사태 및 사면재해의 사각지 대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위험지도 1~3등급 면적과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4~5등급은 증가하였다. 특히, 산지환경 변화지의 산사태 위험지도 현행화 검증결과, 산사태위험 지도 1등급과 2등급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비율은 총 1,889건의 산사태 중 1,527건(80.8%)으로 현 행화 이전 산사태위험지도 비율(1,280건, 67.8%)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산사태 발생 예측 고도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정보

  • 강민정 Minjeng Kang.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배현석 Hyunseok Bae.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이광연 Kwangyoun Lee.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이종서 Jongseo Lee.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김성환 Seonghwan Kim.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임영협 Younghyup Lim.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박소현 Sohyeon Park.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채희주 Huiju Chae.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이상호 SangHo Lee. 한국치산기술협회 연구조사처
  • 우충식 Choongshik Woo.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산사태연구팀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