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lumbar muscle activity (LMA) and oxygen consumption (OC) according to bike saddle height in healthy young men. Twenty-two subjects without musculoskele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performed 3 min cycling at 3 different saddle heights with 10 minutes of resting time respectively. Surface EMG was used to assess muscle activity in LMA, and OC was assessed by potable gas analyzer. In the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oblique abdominis activity (p<0.05), and the O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saddle height than the optimal and the low position of the saddle (p<0.05). This study suggest that changes in saddle height affected internal oblique abdominis activity and OC in subjects, however, saddle height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lumbar stabilizer muscl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 안장 높이에 따라 요추부 근 활성도와 산소 소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근골계 장애가 없는 22명의 건강한 남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3가지 다른 안장 높이로 3분씩 자전거를 탔으 며 각 조건 별로 10분의 휴식시간을 가졌다. 표면 근전도는 요추부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산소 소모량은 휴대용 가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 내복사근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산소 소모량은 높은 안장 높이가 최적 안장 높이와 낮은 안장 높이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는 안장 높이가 건강한 남성의 내복 사근 활성도와 산소 소모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지만 안장 높이는 요추 안정화 근육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절차
2.2 자전거 안장 높이 변화에 따른 측정방법
2.3 측정 도구
2.4 자료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안장 높이 차이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3.3 안장 높이 차이에 따른 산소 소모량 비교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