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As the software education which utilizes the virtual reality in the education field becomes more interested i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for the educ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utcomes, and evaluation results of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for educationa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each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bility to specific tools, differences in ability of object production in production, and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in learning attitude.
한국어
가상현실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교사와 학생에게 높은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교급별 가상현실 교육을 위해 교육대 학 학생들과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교육에 따른 교육과정, 산출물, 평가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의 결과로서 특정도구에 대한 적응력은 차이가 없었으며, 산출물 제작에서 객체의 제작능력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학습태도에서 가상현실의 제작 및 활용에 높은 자신감 및 흥미를 나타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가상현실(Virtual Reality)
2.2 코스페이시스(Cospaces)와 블록리(Blockly)
3.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교육의 사례 비교
3.1 연구대상 및 기간
3.2 학습 대상자별 교육프로그램 비교
3.3 산출물의 비교
4. 학습자에 따른 VR 콘텐츠 제작의 시사점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