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이 경고그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New Cigarette Advertising Method on the Recognition of Warning Pictures

김세훈, 이환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igarette warning picture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olicies, and this is an effective way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by conveying the risk of smoking through pictures. However, the recent advertisement of new cigarettes in retail stores has potentially increased tobacco purchase intention by weakening the effect of the warning pic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new cigarette advertisement method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is method on cigarette warning pictures. For this purpose, 275 men and women were surveyed nationwide, and this study compare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and purchase intentions of the new cigarette advertisements with existing advertisement methods through MANCOVA. The results show that the new cigarette advertising method affects the emotions, cogni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related to the cigarette warning pictures and have adverse effects o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igarette warning pictures. This implies that regulatory standard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new cigarette advertising.

한국어

담배 경고그림은 가장 대표적인 금연정책 중 하나로 흡연의 위해성을 그림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금연을 유도하는 효과적 흡연 억제 방안이다. 그러나 최근 소매점에서의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그림의 효과를 약화시켜 담배 구매의도를 유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담배의 광고방식이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신제품 광고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신제품 담배광고와 일반광고 사례의 인지·정서적 영향과 구매의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 그림의 인지·정서적 효과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쳐 담뱃갑 경고그림 본연의 목적에 반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신제품 담배 광고의 방식에 대한 규제 기준과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담배 광고 규제 현황
  2.2 경고그림의 영향 및 효과
  2.3 구매시점(Point of Purchase ; POP) 광고와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2.4 가설 및 연구문제
 3. 연구방법
  3.1 조사대상 및 방법
  3.2 분석방법
 4. 분석 결과
  4.1 조사대상자의 특징
  4.2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4.3 가설 검증
 5. 논의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세훈 Saehoon Kim. 단국대학교 문화예술학과 박사과정
  • 이환수 Hwansoo Lee. 단국대학교 융합보안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