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role performance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leadership.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teacher leadership, student perception of teacher ro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and student perception of teacher role,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ub-factors except life gu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and teacher leadershi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aissez faire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leadership and student' s perception of teacher rol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in bo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laissez faire leadership. Second, teacher's leadership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and student' s perception of teacher ro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full mediate the student 's perception of teacher role,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partially mediated. In terms of sub-fa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power distance in the field of curriculum instruction, learning guidance, and social relations. In the life guidance area, has no mediated effect. And laissez faire leadership has no mediated effect.
한국어
본 연구는 학생이 교사의 역할 수행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교사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다 양한 요소가 개입된 관점을 가지게 된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여,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변인을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 교사 리더십으로 설정하고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가 초등학생의 담 임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과 그 사이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 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 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 교사 리더십,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 간에 상관관계가 존 재하였다.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와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존 재하였으며 생활지도를 제외한 하위요인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와 교사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는 부적 상관관계가, 자유방임적 리더십의 경우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리더십 과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 간의 관계는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자유방임적 리더십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와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의 관계를 교사의 리더십이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을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적 리더십은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 면 교과지도, 학습지도,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지도 영역에서는 유의한 매 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으며, 자유방임적 리더십은 매개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사의 역할
2. 권력거리
3. 교사 리더십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처리 방법
IV.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분석
2.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 및 교사리더십의 상관관계
3. 교사-학생 간 권력거리와 학생의 교사 역할수행인식과의 관계에서 교사 리더십의 매개효과 분석
4.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